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능력보다는 쥐에 물려가면서 주당 80시간의 일을 할 수 있는 인내심이 요구된다.물고기
숫자
세기Fish Counter댐은 연어의 회귀를 방해하는 장벽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연어가 거슬러오를 수 있는 사다리식 통로를 만들어두고 있다. 물고기 계수원들은 4월부터 10월까지 하루 8시간씩 교대로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생태계 안에서는 아무리 강력한 포식자가 등장해도 생태계가 무너지지 않는다. 먹이의
숫자
가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포식자의 수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계들은 우리와 다른 생태계에 속하기 때문에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태양 에너지를 놓고 무한경쟁을 벌일 수 있다. 결과는 효율이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것인데, 타원형의 구멍은 어느 시각의 가시천구의 규모로 조절되어 있으므로 주변의
숫자
에 맞추어 밑의 원반을 회전시키면 임의의 계절, 임의의 시각에 나타나는 천구의 별자리 배치를 알 수 있다fcc→bcc(bct) 마텐자이트 변태의 원자 이동 과정을 기술하는 모델의 하나 이 모델은 별명을 2중전단기구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그 다음에 전체 밤하늘로 확장했고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 고려했다. 그래서 나온
숫자
가 7천억의 1천억배다.드라이버 박사는 현재망원경이 관측할 수 있는 우주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실제 별의 수는 훨씬 더 많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거의 무한히 많아서 그야말로 셀 수 없는 만큼 말이다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게다가 소규모 피라미드 제단이 지역마다 산재해 있었으니, 연간 희생된 인간 제물의
숫자
는 엄청났을 것이다. 그 당시 스페인 정복자의 일원인 디아즈는 수십만 점의 두개골을 도시의 광장에서 헤아리기도 했다.그러나 인간 제물의 이 같은 규모조차도 의식을 마친 후 그 제물이 처리된 방식, 즉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RNA를 가진 종양(腫瘍) 바이러스의 총칭 역수값이나 계산 명령을 나타내는 일련의 2진
숫자
의 기억장치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염색체 DNA에는 그것 자체가 하나의 레플리콘이며, 에피솜(episome) ... ...
5 인파에 섞인 범인 잡는 지능형 재난방지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NT의 나노 광보안 소재와 소자 및 나노칩 구현 기술이다.지금까지 IT에서 사용된 암호키는
숫자
와 영문 알파벳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암호를 조합해, 이를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정보보호 방어망이 쉽게 깨지고 만다. 원천적으로 안전한 IT 시스템은 없다는 ... ...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새겨진 거북의 등껍질을 얻었다. ‘낙서’(洛書)라 불리는 이 그림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
가 3행3열로 배열돼 있는데, 어느 쪽으로 더하든지 모두 합이 15가 되는 마방진이었다고 한다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무모한 것인지도 모른다. 중간에 개입한 다른 여러 생물들에 의한 영향으로 오히려
숫자
가 줄어들지도 모르기 때문이다.바다표범-남방대구 네트워크는 생태계의 엄청난 복잡성을 보여주는 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이밖에도 복잡계에 대한 우리의 무지로 인해 재앙을 자초할지 모르는 사례는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별무리를 확인할 수 있다. 흡사 사진에서처럼 작은 별들이 촘촘히 박힌 모습으로 별의
숫자
는 셀 수 없을 만큼 많고 조밀하다. 입에서 탄성이 절로 나온다.만일 이보다 더 큰 망원경으로 본다면, 시야 전체가 오로지 별들만으로 꽉 차는 특이한 광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과거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