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기초 분야부터 최첨단 탑재체 개발까지 국내 연구진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며 “포스트 ISS 시대가 기대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년 우주 개발 협력의 상징, 국제우주정거장 ISSPart 1. 1998~2018, 해시태그 로 본 2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겉으로만 봐서는 잘 알 수 없다. 문헌에도 수리했다는 기록만 있지, 얼마나 많은 부분이 교체됐고 어떻게 수리했는지는 상세하게 나와 있지 않다. 그는 “부재를 다루기 위한 전통 연장 기술도 사실상 맥이 끊겼다”며 “부재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도구들을 복원하고 사용법 시연회를 열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이다. 트라이스타를 1024대 만든 뒤의 평균 생산비용은 맨 처음 생산비용의 14 분의 1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조립라인에서 일하는 노동자나 부품 제공업자, 관리자, 그리고 제작 도구를 만드는 사람들의 생산성이 평균 14배 정도 향상됐음을 의미한다. 10여 년 동안 거의 비슷한 일을 하면서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일이 오히려 이후 성적 향상의 계기가 됐다”며 “실패가 힘을 낼 수 있게 만드는 기폭제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조금 뒤처졌다고 생각해도 좌절하지 않았으면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꼽힌다. 나노기술은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로 아주 작은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한다. 물질이 나노 크기가 되면 화학적, 기계적, 전자적, 광학적 특성이 완전히 달라지고, 이를 이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2010년 노벨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결국 고흐는 7월 13일 9시 8분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덕분에 F735는 ‘월출’이라 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됐답니다. 예술가뿐만 아니라 과학자들도 제 그림에 관심을 보인다니 정말 영광이네요. 제 그림 속에 또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지 궁금한 걸요? 새로운 비밀이 ... ...
- [과학뉴스] 비트코인, 모르고 사면 독(毒)된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안전하고 투명하게 분산해 저장한다’는 개념이다. 이 기술은 가상화폐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중간 거래자가 없기 때문에 금융 거래 수수료가 사라진다. 해외송금과 같은 비싼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어진다. 과거 거래기록까지 모두 공개된 특성은 투명한 시장을 만들도록 도울 수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비율이 더 높습니다. 열을 잃기가 더 쉽다는 뜻이죠. 따라서 옷차림을 기온에 따라 세분화해야 합니다. 가령 11월이나 12월 초, 2월이나 3월 초 영상의 기온에는 옷을 가볍게 입혀 아이가 추위에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고, 날씨가 영하로 떨어지는 12월 중순부터 1월까지는 손과 발의 보온에 신경을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에벨링 팀장은 “E-XFEL을 포함해 전 세계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fs(펨토초·1fs는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화학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E-XFEL은 최초에 방출되는 한 줄기의 방사광을 여러 갈래로 나눠 서로 다른 목적의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그 갈래 하나 하나를 빔 라인이라고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