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로켓 '신기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그러나 실망만 하고 있을 필요는 없어요.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도 우리의
독자
적인 로켓(KSLV-1)을 우주로 띄워 보낼 준비를 하고 있으니까요. 바로 2007년에 완공될 외나로도 우주센터에서 말이죠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낭비가 심했다. 하지만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면 버리는 부분이 없다.2004년 엡손은
독자
적인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응용해 세계 최초로 40인치 대형 OLED 개발에 성공했다.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움직이는 기업인 케임브리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CDT) 역시 고분자 화소를 제작할 수 있는 ... ...
세상을 바꾼 과학 천재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2004년 1월 연재를 시작한 ‘세상을 바꾼 과학 천재들’ 코너가
독자
여러분께 마지막 인사를 드립니다.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을 ... 24명의 삶과 과학에 대한 열정을
독자
들에게 보여줬습니다.그동안 만화에 보내준
독자
여러분의 따뜻한 격려와 열렬한 지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상대성 원리가 성립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892년 H A 로렌츠와 G F 피츠제럴드가 각기
독자
적으로 제창한 설로서 마이컬슨-몰리의 실험 결과를 설명할 때 이용되었다 물질 내에는 전기를 띤 작은 입자가 있다고 생각하고 이 입자의 전자기장 내의 운동을 논한 H A 로렌츠의 이론 작은 입자(전자)에는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사정을 평가하고자 했다. 물밀도는 각국이 가진 수자원 총량을 인구수로 나눈 것이다.
독자
들도 우리나라의 물밀도를 간단히 계산해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83mm, 강수량 가운데 약 45%는 대기로 증발하고 나머지 약 55%를 실제로 이용할 수 있다. 국토 면적은 약 10만㎢이므로 이 세 ... ...
과학으로 미래를 내다본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가깝거나 먼 미래를 예측하면서 살고 있다. ‘이 길은 오늘도 막힐 테니 다른 길로 돌아가야지’ ‘수능 점수가 몇 점이니 어 ... 다양한 학제간 이론과 과학적 분석의 만남으로 이뤄진 예측공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독자
여러분이 눈뜰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면역은 주로 대식세포와 천연살세포(天然殺細胞, natural killer)의 역할이다이들 세포 계는
독자
적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상호작용에 의해 기능을 발휘하는 일이 많다면역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장기이식을 할 때 면역거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쓰이는 외에 사구체신염(絲球體腎炎)이나 류머티즘성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소련의 도움으로 철저한 광물 탐사를 추진한 것도 광물 개발에 일조했다.그러나 북한은
독자
적으로 지하자원을 개발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만성적인 전력난과 낡을 대로 낡은 장비와 시설 때문이다. 광진공 관계자는 “북한의 주요 광산 설비는 1980년대 중반부터 개보수 작업이 ... ...
기술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과학이 지식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뒤 비잔틴, 페르시아, 중국, 인도 등 여러 제국에서
독자
적 과학연구의 전통이 발전한 과정을 조명한다.11세기까지만 해도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불모지나 다름없던 유럽은 고밀도 농업 방식이 정착된 뒤 복잡한 기계장치와 동력원에 대한 개발이 급속도로 ... ...
다이어트 성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짤 수 있겠냐는 것이었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는 퍼즐치고는 어려운 편이어서 잡지
독자
가운데 해답을 제시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커크먼 본인이 7가지 해답을 모두 제시했다. 이후 많은 수학자들이 이 문제를 연구했고, 몇 년 뒤 ‘스타이너의 삼중 체계’로 일반화됐다. 그리고 이런 구조를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