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Ⅳ 자기부상열차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있다.차체구조와 운행제어기술은 기계연구소가 주로 맡고, 전자기장치는 전기연구소, 궤도기술은 건설기술연구원과 대학은 기초기술을 맡는다.연구비는 단계별로 각각 4백90억원, 1천3백억원, 1천5백억원이 우선 책정돼있다.그러나 자기부상철차 개발을 위해 거국적인 공동연구 체제를 구성하는데 ... ...
- 우주에서의 장기노출 테스트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장기노출설비(LDEF : Long Duration Exposure Facility)위성이 지난 1월 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에 의해 지구로 회수돼, 현재 미국이 추진중인 영구 우주정거장 및 미래형 ... 폭발사고 때문에 6년으로 연장된 LDEF는 콜럼비아호에 의해 회수되기 전까지 하루에 반 마일씩 궤도로부터 이탈하고 있었다 ... ...
- 4월12일 허블우주망원경 띄운다과학동아 l1990년 04호
- 4월12일 우주망원경을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에 실어 발사한다. 이 우주망원경은 지구궤도 약 6백km 상공에 머물면서 앞으로 10년 이상 천체관측을 수행하게 된다.이 망원경은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이름을 따서 '허블우주망원경'이라 이름붙여졌다. 허블은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일수록 ... ...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과학동아 l1990년 04호
- 보면서 훈련연습을 하는 장비)이나 건축설계 시뮬레이션, 그리고 심지어는 인공위성의 궤도를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아폴로 우주개발에도 크게 활용됐다.그러나 아무래도 컴퓨터그래픽은 방송에서 꽃을 피웠다는 게 전자공학자들의 일반적인 해석이다. 그리고 그 중요한 계기가 되었던 ... ...
- 3월경 정점에 이를 태양활동의 여파과학동아 l1990년 03호
-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태양열기의 확대는 지구의 대기를 팽창시켜 우주선의 궤도운항을 방해하기도 한다. 사상 최대의 움직임22번째 주기로 불리는 현재의 태양활동은 사상 최대의 활발한 움직임이라고 여겨진다. 이전에 가장 활발했던 활동으로 기록된 19번째 주기때 보다 대기온도를 더 ... ...
- 「피슈바하」의 도전장 제5의 힘을 찾아서과학동아 l1990년 03호
- 동등함, 큰 질량을 가진 별 근처를 빛이 지나칠 때 휘어진다는 사실, 수성(Mercury)의 궤도가 조금씩 변한다는 예언을 했다.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업적이야말로 순수이론의 참된 모습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반면 중성미자와 관련된 약(弱)작용이론의 초기 전개과정은(약작용 이론이란 ...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과학동아 l1990년 03호
- 행성간 궤도이동 기술로 뮤즈는 처음에 타원꼴로 지구를 돌다 3월 19일 원형으로 달궤도에 진입하게 된다.일본의 다음 목표는 우주선을 금성에 3백km 이내로 접근시켜 대기권에 기구를 띄우는 것이다.그러나 ISAS는 일본내의 고유 임무에 묶여있는 상태이며, ISAS와 경쟁상대인 일본국립우주개발국(NASDA ... ...
- 컴퓨터학습프로그램의 허실 현장교사들의 참여 반영돼야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컴퓨터교육의 궁금증을 풀어봅시다 「컴퓨터교사연구회」 활기학교컴퓨터교육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자발적인 모임인 '한국컴퓨터교사연구회'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지난해 4월 5명의 교사가 결성한 이 모임은 현재 41명으로 회원수가 늘어났다. 컴퓨터교육에 관한 ... ...
- 상승하고 있는 지구온도 새 빙하기는 언제 오는가?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약22도에서 25도까지 변동해 발생하는 주기가 두번째 요소. 가장 긴 순환은 지구의 공전궤도가 거의 완전한 원형에서부터 타원으로 길쭉해졌다가 다시 원형으로 돌아오는 10만년 가량의 주기로, 이 순환은 그 자체의 힘만으로 직접 지구의 기후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해양대기권에 장기적이고 ...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과학동아 l1990년 03호
- 우주왕복선을 이용해 천문·우주과학자들의 오랫동안의 숙원인 우주망원경을 지구위성궤도에 올린다. 이 망원경은 우주구조연구에 큰 공을 세운 미국의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의 이름을 따 허블 우주망원경이라 명명했다.크기는 비록 직경이 2m정도 밖에 안되지만 지구대기권 밖에서 관찰하기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