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심
불안
염려
고민
시름
심려
고뇌
d라이브러리
"
걱정
"(으)로 총 2,199건 검색되었습니다.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사실 고속증식로 기술이 완벽하게 확보되면 우리 인류는 앞으로 수백만년 동안 전기
걱정
을 할 필요가 없다.고속증식로란 천연 우라늄(U)속에 99.3%나 들어 있으면서도 핵분열을 일으키지 못해 핵연료로서의 가치가 없는 우라늄238을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원자로다. 즉 원자로 중심부에 핵분열을 ... ...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전국민이 환경기술을 믿고 언제쯤이면 공해
걱정
이 없는 세상이 올까 하고 기다린다면 결코 그런 시대는 오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정부관료들은 2천년까지 수천억원의 예산을 들여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는 막연한 기대를 하고 있을지도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기말고사 때문에 제대로 정리도 못하고 떠나면서 출국하는 비행기 안에서야 비로소 대회
걱정
을 하는 것을 보고 안스러운 생각이 들었다.정보 올림피아드 문제 예둘째날 문제) 등반문제등산가 클럽에 P명의 인원이 1부터 P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모든 멤버는 동일한 속도로 등반하며 위쪽 혹은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남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중이다.우리가 우리주변과 머리 위에 쓰레기가 쌓임을
걱정
하는 동안 아름다운 동굴의 벽화나 흥미롭게 서 있는 돌을 발견하는 그 이상의 과학인 고고학을 상기시켜 보라. 고고학의 많은 부분은 오래 묵은 쓰레기를 뒤지는 것이고 필자가 아는 모든 고고학자들은 이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보기 드문 좋은 날씨라 사진이 너무 잘 나와서 대구가 공해없는 도시로 판명날까봐
걱정
이 된다고 관측일지에 적었다.대구 근교는 성서 인터체인지에서 버스로 7분 거리인 계명대 성서캠퍼스에서 이 학교 아마추어천문회(팀장 김은주)가 관측을 시행 했다. 8월1일 관측을 하던중 미확인비행물체(UFO ... ...
「무공해 녹색낙원」가꾸는 독일의 환경 교육·환경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조사에 의하면 6살에서 14살에 이르는 독일 어린이들 중 40% 이상이 지구 생존 자체에 대해
걱정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환경파괴와 자연파괴로 인해 다가올 자신들의 시대에 지구에서 계속 살아갈 수 있느냐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전시장을 점검한 어린이들은 이러한 우려를 행동으로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원인이 없이 나타나는 불면증과 약물복용, 신체질환, 지나친 피로나 심리적 불안, 우울,
걱정
등으로 인한 2차적 불면증이 있다. 또 야간근간대증후군과 같이 수면도중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다리의 움직임으로 불면증이 올 수도 있다. 심리적 원인의 경우 학업이나 사업 일에 대한
걱정
, 잠자기 전에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적은 없습니까?' PC문명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컴퓨터 문맹」이란 소리를 들을까봐
걱정
하는 사람이 많다. 무작정 모른다고 할 수도 없고 어디가서 뭘 배워야 할 지도 막막하다. 「과학동아」는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독자들을 위해 「초보」에서부터 차근차근 컴퓨터의 맥을 짚어가는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날것으로 통째 먹기도 한다. 오염된 곳에서만 자라지 않았다면 식탁의 그 음식물에 대해
걱정
할 필요는 없다. 대합조개와 굴은 연체동물의 '퇴화형 진화'의 한 예가 되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흔한 다리나 머리가 없고 뇌라곤 전혀 없기 때문이다. 텔레비전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오는 조니 하트의 멋진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몇천년 후를 생각할 여유가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지구의 운명을
걱정
하는 사람이라면 마냥 바다로 이산화탄소를 구겨넣는 방법은 그리 현명한 대책이 아니라고 쉽게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