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개발
되던 유럽에서 대부분의 유산균을 수입했어요. 그 래서 한국인에게 맞는 유산균을
개발
하기 위해 쎌바이오텍이 만들어졌지요. 4월 22일,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쎌바이오텍 연구소에 기자단 친구들이 모였어요. 연구소에 들어서자 쎌바이오텍에서 19년 동안 유산균을 연구해 오신 김진응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원래 남극점 망원경은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위해 만들어졌어요. 그래서 제가
개발
한 특수한 전파 수신기를 설치해야 블랙홀을 관측할 수 있었지요. 이를 설치하기 위해 2014년부터 남극점에서 네 번의 여름을 보냈어요. Q 전파 천문대가 왜 남극점에 설치되어 있나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약 70℃예요. 2007년,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농심은 미지근한 물에서도 빠르게 익는 면을
개발
했어요. 미리 삶은 면에서 수분을 빼는 ‘지오드레이션’이라는 기술로 구멍이 매우 많은 면을 만들었 지요. 구멍이 많으면 면의 표 면적이 커져 빨리 익는답니다. 어떻게 된 걸까?결과 : 종이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다.머리카락에서 얻은 DNA 정보로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도
개발
되고 있다. 가령 머리카락 색깔은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데, 정확도가 75% 수준이다.머리카락은 심지어 블랙홀 물리학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지난해 작고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에게는 최근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블랙’ 등장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개발
된 가장 어두운 검은색보다 10배 더 어두운 검은색을 띠는 탄소나노튜브(CNT)를
개발
해 국제학술지 ‘ACE 응용물질 및 계면’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층을 제거하고 CNT를 만들면서 온도를 100도로 낮추면 탄소 구조물이 더욱 검게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은 ... ...
[검시관사건노트] 물속에서 떠오른 억울한 죽음 수중시체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물에 담가 순간적으로 지문을 팽창시켜 채취하는 기법이다. 우리나라 과학수사계가 자체
개발
한 기법으로, 미국연방수사국(FBI) 등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기법이다.수사팀은 고온습열처리법을 이용해 수중시체에서 지문을 채취했다. 그리고 피해자가 사라진 택시기사임을 확인했다. 이미 형사팀은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비해 너무 작은 뇌를 가져, 뇌가 없는 것과 같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포유류용으로
개발
된 지능검사법을 파충류에 적용하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2008년에 출간된 ‘파충류 및 양서류 백과’를 보면, 존 필립스 미국 샌디에이고동물학회(현 샌디에이고동물원) 박사팀이 1999년 길이 2m의 거대한 ... ...
5G 시대 데이터 간섭 해결할 기지국 협력 전송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 교수팀은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잡음을 섞거나 안테나 빔을 조정하는 기술을
개발
했다. 사용자의 통신기기와 미리 합의된 잡음을 섞어 데이터를 전송하면 만에 하나 도청이 되더라도 제대로 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 여러 개의 안테나를 활용해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만 강한 세기로 ... ...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A. 삼중수소를 바라보는 시간 차이가 원인 일본도 저장탱크의 오염수를 그대로 바다에 버리겠다고 우기는 것은 아닙니다. 다핵종제거설비(ALPS·Advanced ... 많은 양의 삼중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상용화된 기술은 아직 없다”며 “추가 R&D(연구
개발
)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구팀이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새로운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
했다. 제임스 콜린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3세대 유전자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CRISPR)를 이용해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들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