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취소된 대회를 회차에서 제외했지만, 올림픽은 취소된 1916년, 1940년, 1944년 올림픽을 각각 제6회, 12회, 13회로 셈해, 2012 런던올림픽이 30회가 된 것이다. 하지만 실제 올림픽이 열린 횟수는 27회로 세계수학자대회와 같다.한눈에 보는 세계수학자대회의 역사세계수학자대회와 올림픽은 비슷한 시기에 ... ...
- [시사] 수학의 고수, 수학자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뭘 위한 것인지 모를 때가 많거든요. 불이 났을 때 소화기로 불을 끄는 비유를 종종 생각하죠. 불을 끄려면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고, 바람을 등진 후에 불을 향해 분사하잖아요. 수학 공부는 소화기로 불을 끈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불 끄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비슷해요.”어렸을 때부터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사람들은 흔히 ‘수학 잘해서 뭐 해? 더하기 빼기만 잘하면 되지!’라며, 학창시절에 공부하는 수학을 가볍게 여긴다. 진로 선택에 있어서도 수학 선생님이나 수학자가 되고 싶 ... 현실에 적용되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지금처럼 평생 수학을 활용한 작품 활동을 계속할 생각이에요 ...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꼭 그렇지는 않다. 무리지능 알고리듬은 통신/물류 최적화, 조합최적화 등 군집로봇 외 각종 시스템에 대한 최적 제어에 광범위하게 쓰인다.최적화 기법엔 크게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방법 이 있다. 결정론적 방법은 수학적으로 최적의 값(해)을 찾는 방법으로, 주어진 조건이 같다면 항상 같은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합류했다. 홀은 초파리의 구애행동에서도 코노프가와 같은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미 구애행동을 연구하던 요시키 호타와 홀은 힘을 합쳤다. 이들은 몸이 암수 모자이크로 이루어진 초파리(자웅모자이크)를 해부해 수컷의 구애행동에 필요한 중추신경계의 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했다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등장해 지금의 복잡한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우리는 눈을 가진 생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빛이 아닌 냄새나 소리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물들이 자연선택 돼 캄브리아기 폭발을 일으켰다면 어땠을까. 생물체와 생태계는 지금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 말이 없는 ... ...
- [시사] 360°로 보는 동그란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도법 중에서 작은 행성 사진을 찍을 때 사용한 것은 ‘평사도법’입니다. 간단히 말해 ‘각’을 유지시키면서 지구를 평면에 투영하는 방법입니다. 지구와 투영면이 접하는 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원 모양이 되지요. 저는 인터넷에서 무료로 내려받아 쓸 수 있는 사진 편집 ... ...
- [수학뉴스] 더 공평한 월드컵 조 편성 방법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결정했다. 이때 브라질은 개최국이라는 점을 반영해 상대 순위를 1위로 정했다. 그 다음 각 조에 편성된 4개국의 상대순위의 합과 표준편차를 이용해 이번 조 편성의 결과를 매우 강함, 강함, 균형, 약함, 매우 약함 5단계로 나누어 표시했다(표1). 그 결과 이번 대회에서 ‘균형’에 해당하는 조는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만나도록 ×자로 그린다. 초록 선은 A 노선, 노랑 선은 B 노선이다. 그리고 선 위에 원을 각각 5개씩 그려 넣자. 원 안에는 열차가 언제 도착하는지 그 시간을 적는다. 열차가 현재 위치한 지점을 0이라고 하고 열차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차례로 1, 2, 3, 0이라고 쓴다. 열차가 4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기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꼭짓점을 가진 다각형을 분할하기 때문에, [n/3]명의 경비원이 있으면 전체 미술관을 사각지대 없이 감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때 [n/3]은 n/3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의 정수를 말한다. “반장님, 이 꼭짓점에 계셨군요! 미술관 감시카메라 배치는 미술관 문제로 완료했습니다!”“수고했다!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