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2,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렁이 이용, 죽은 땅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09
점. 지렁이는 땅 속 조용한 곳에 사는 동물이다. 또한 지렁이는 야행성이므로 특히
밤
에 조용한 장소를 찾아야 한다.다른 한가지는 지렁이를 천적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것. 두더지를 비롯, 뱀 개구리 새 쥐 지네 등 지렁이를 잘 먹는 동물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땅에 생명력 불어 ... ...
노트북 PC
과학동아
l
199509
과제물을 제출하기 위해 주로 학교의 로고가 인쇄된 원고지나 리포트지를 사용, 때론
밤
을 새워가며 작업을 했던 기억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노력을 들이지 않고 친구의 과제물을 베끼려 해도 많은 양의 리포트는 베껴쓰는 자체만으로도 큰 고역이었다.그러나 이제는 학교에 나가지 않고도 각자의 ... ...
생생한 현장 실습, 산교육에 큰 도움
과학동아
l
199509
깨달아야 한다(명석고 이근성).-몇년전에 학생들에게 일주운동을 가르쳐주려고
밤
에 사진을 찍어오라는 숙제를 한번 냈다가 교장 선생님 이하 학부모들에게 심하게 항의를 받은 적이 있다. 왜 귀찮게 구느냐는 것이다. 살아 있는 천문학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가 일체가 돼 창고에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
과학동아
l
199508
호가 8월3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케너베럴에서 현지 시간 아침 7시30분(한국시간
밤
8시 반)에 발사된다. 이날은 음력 칠월칠석날로 견우별과 직녀별이 만나는 날이다. 우리는 견우와 직녀의 만남을 지켜보면서 TV화면을 통해 무궁화위성의 성공적인 발사를 기원하게 될 것이다.무궁화호는 (그림1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08
발휘할 수 없다. 더군다나 인공위성이 놓인 환경은 지상과는 전혀 다른 극한 상황. 낮과
밤
의 온도 변화가 수백도에 달할 뿐 아니라 무중력 고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현상들로(기체이온화, outgasing, 태양풍 등) 인공위성은 수명 단축을 강요 받고 있다. 허블망원경 역시 3년도 안돼 최고의 ... ...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
과학동아
l
199508
새까만
밤
하늘의 아름다운 천체들을 보며 즐긴다는 것은 특별한 경험이 되실 겁니다.
밤
새 별을 보고 난 다음날에는 기암 괴석으로 유명한 채석강과 고풍스런 내소사(寺)를 답사할 계획입니다.● 장 소 : 변산반도 '금구원 조각 공원'(김오성씨 개인 천문대)● 일 시 : 1995년 8월5일-6일● 대 상 : 천체 ... ...
화학- 한여름
밤
수놓는 환상의 불꽃놀이
과학동아
l
199508
달라진다.8월의 무더위를 잊기 위해 산으로 바다로 피서를 많이 갑니다. 피서지에서
밤
이 되면 유흥의 기분도 살릴 겸해서 불꽃놀이를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지요.이번 실험은 이 불꽃놀이에 이용되는 화약의 제조과정을 이해하고 한번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절대 주의해서 실험에 임해야 ... ...
에러난 파일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508
꼬박
밤
새워 작성한 파일을 몽땅 날려버렸을 대의 허탈감이란 경험해 본 사람이면 안다.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면 차분히 사라진 파일을 복구시킬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이때 파일이 어떻게 작성되며 디스켓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그 원리를 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사후약방문'이나 '소잃고 ... ...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08
NOAO를 돕기 위하여 어두운 나트륨 가로등을 쓰고 전등에 갓을 씌운 결과다. 착륙하려는
밤
비행기들만이 어렸을 때 본 반딧불처럼 이리저리 상공을 날고 있었다. 보현산 천문대 주위의 우리 국민들도 잘 협조해 줄지 걱정이 되었다.다음날인 6월 29일 투손 시내 아리조나대 옆에 있는 NOAO 본부에 들린 ... ...
2. 빛으로 생체시계 조절, 겨울에도 여름꽃 피운다
과학동아
l
199507
나면 시차때문에 고생을 하게 된다. '제트레그 현상'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차는 낮과
밤
이 뒤바뀜으로써 인체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생체시계의 원리가 밝혀진다면 이를 바로 제트레스 현상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과연 빛을 시차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을까? 시차는 생체시계가 일상의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