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3,9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계절의 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2
위쪽은 북반구, 아래쪽은 남반구라고 한다. 남반구인 오스트레일리아는 우리나라와는
반대
로 ㉡의 위치에서 겨울, ㉣의 위치에서 여름이 된다. 그래서 크리스마스인 12월 25일은 한창 무더운 여름이 되는 것이다.가을철에 우리나라에 오는 겨울철새 봄철에 우리나라에 오는 여름철새 계절이 변하지 ... ...
용수철과 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1
측정판을 누르면 체중에 비례해서 용수철이 늘어나고 그 값이 눈금판을 돌리는 거예요.
반대
로 체중계에서 내려오면 용수철이 수축하면서 다시 눈금은 0을 가리키게 됩니다. 무게를 재는 데 사용하는 저울을 최초로 발명한 것은 아르키메데스 시대보다 훨씬 앞선 기원전 3500년 경이랍니다. 고대 ... ...
웃으면 정말 복이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1
사람에게 계속 웃는 표정을 짓게 하면 진짜로 기분이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반대
로 계속 슬픈 표정을 짓게 하면 정말로 슬퍼진다고 해요.이런 연구 결과를 보면‘웃으면 복이 온다’라는 말이 그냥 생긴 게 아닌 것 같아요. 친구들도 나쁜 일이 있으면 울상만 짓지 말고 억지로라도 웃어 ... ...
무인도 탈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때문인데 이러한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물은 손수건을 통해
반대
편의 컵으로 이동하지만 흙은 무거워서 그대로 남는다. 식물의 뿌리에서 빨아올린 물과 양분이 잎 끝까지 올라가는 것도 바로 모세관 현상 때문이다. 손수건이 없다면 깨끗한 옷이나 천 등을 이용해도 된다. 단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가면 달의 뒷모습이 보여야하지만 반바퀴를 공전하는 동안 달도 반바퀴 자전해 지구
반대
편에서도 달의 앞모습 밖에 볼 수 없는 것이죠. 그러나 달 궤도를 돌고 온 달 탐사선 덕분에 달의 뒷면을 볼 수 있게 되었죠.탐사선이 찍어 보낸 달의 뒷모습은 우리가 항상 보는 앞모습과는 사뭇 다릅니다. ... ...
쓰러진 트로이목마를 일으켜 세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트로이목마를 종이컵 위에 단단히 붙여 놓았지. 이 때 주의할 점은 건전지를 붙인 방향과
반대
쪽에 목마를 붙여야 한다는 거야. 트로이목마 오뚝이 완성!실제로 트로이목마를 세울 수 있을까?모형 트로이목마 세우기 성공! 그럼 실험의 방법대로라면 실제 트로이목마도 세울 수 있을 거야.어디 한번 ... ...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때문에 가라앉고 마른 사람은 가벼우니까 뜰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정답은 그
반대
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은 밀도가 물보다 작아서 물에 뜬다. 그런데 마른 사람보다 체지방이 많은 뚱뚱한 사람은 물에 훨씬 잘 뜬다. 체지방은 기름과 마찬가지로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이다.■ 생활 속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 아래에 있으면 저기압인 태풍은 중국으로 빠져 나가요.
반대
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하거나 일본 쪽에 치우쳐 있다면 태풍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확률이 커지겠죠. 이처럼 우리나라 주변의 기압배치를 통해 태풍의 진로를 짐작할 수 있어요. 그러나 이것도 예측일 뿐, ... ...
아인슈타인 특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하지만 박사님의 뛰어난 연구 성과들을 무시할 수는 없었지. 그래서 몇몇 심사위원들이
반대
하는 상대성이론이 아닌 ‘이론물리학의 여러 가지 연구, 특히 광전효과의 법칙 발견’으로 노벨상을 수상하셨어.멀게만 느껴지는 박사님의 이론들이지만 우리 가까이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3
있어요. 아인슈타인보다 나이가 많고 건강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어머니가 둘의 결혼을
반대
하고 있거든요.1896년 취리히 연방공대에 입학한 아인슈타인은 인생의 동반자가 될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밀레바예요. 세르비아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밀레바는 스위스로 유학을 온 뛰어난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