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미국 일리노이대 박사후연구원 시절 곤충의 겹눈을 모방한 초광각 카메라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송 교수는 당시에도 쉽게 늘어나는 플렉서블 소재의 이미지센서를 개발했다. 여기에 매우 작은 고무 재질의 마이크로렌즈를 반구 모양으로 배열시켜 시야각 160도의 ... ...
네이처"과학정책 트럼프 이전으로 돌리는 것만으로는 부족. 근본 변화 계기 삼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남발했던 반과학적인 정책에 대해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가운데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8일(현지시간) 사설에서 “단지 트럼프 이전의 정상으로 되돌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라며 “특히 정책과 연구계에서 과학의 활용을 더 강화하고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근본적인 변화를 ... ...
"코에 스프레이 뿌려 코로나19 예방 가능"
연합뉴스
l
2020.11.09
코에 뿌린 결과 감염률이 0%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가 담긴 논문은
학술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org)에 발표됐다. 연구진은 1∼2일 전 코로나19에 감염된 페럿과 그렇지 않은 페럿을 각각 1마리씩 같은 우리에 넣고 24시간이 지난 뒤 검사한 결과 코에 스프레이를 ... ...
국내서도 열화상 카메라, 발열환자 놓쳤다…열화상 캠 성능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교수팀은 이런 내용을 담은 짧은 서간 형태의 논문을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
지 ‘대한의학회지(JKMS)’ 인터넷판에 이달 3일 공개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원격 열화상 카메라가 공항과 학교, 병원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는 열 화상 카메라 ... ...
불규칙한 수면 원인은 뚱뚱해서거나 나이 때문이거나, 치매에 걸려서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예측된 만큼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활용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26일자에 발표됐다. 연구를 이끈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왼쪽)과 김대욱 연구원이 한 자리에 모였다. KAIST ... ...
이산화탄소 자원화 ‘걸림돌’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황윤정 KIST 책임연구원. KIST 제공.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하다. 대표적인 게 ... 차세대 탄소자원화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에너지환경과학’ 최신호에 게재됐다 ... ...
3D 프린터로 체내에서 녹는 식도 스텐트 출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기업인 에드믹바이오 하동헌 박사가 함께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 재료 분야 국제
학술
지인 ‘바이오머티리얼스(Biomaterials)’ 2021년 1월호 게재가 확정됐다. 바이오 잉크를 넣어 체내에서 녹는 식도 스텐트를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조동우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채수훈 박사과정생,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6일 세 가지 색 영역으로 나눠진 소행성 ‘베누’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사이언스는 이날 ‘초기 태양계의 표본을 채취했다’는 제목을 달아 베누의 암석 시료 채집을 기념했다. 이번 호에는 베누의 구성 성분을 분석한 연구만 3개가 실렸다. 미국항공우주국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이런 상황을 종결지은 것이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1965년 1월 국제
학술
지에 발표한 ‘중력수축과 시공간의 특이점들’이라는 논문이다. 여기서 그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해(수학적 답안)로 제시됐던 슈바르츠실트 시공간에서 예측할 수 있는 특이점이 단지 수학적 허상이 아니며, 실제 ... ...
[표지로 읽는 과학] 노벨위원회 예상 적중한 극저온전자현미경
동아사이언스
l
2020.11.07
바이러스,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를 원자 수준에 가깝게 자세하게 볼 수 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이달 5일 이런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생체 분자 사진을 담았다. 영국 MRC분자생물학연구소 연구팀과 독일 막스플랑크 생명물리화학연구소 연구팀은 지금까지 극저온전자현미경의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