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스페셜
"
진
"(으)로 총 2,4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4년차 대학원생이 일을 해낸 것이다. 문득 흑연에서 그래핀을 얻은 연구를 경쟁적으로
진
행하다 2004년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가 스카치테이프를 붙였다 떼는 방법으로 성공한 일이 떠오른다. 이 업적으로 두 사람은 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러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보자니의 존재는 이런 가설에 반기를 드는 모양새다. 트라이아이스 후기에 더 거대해
진
수궁류의 등장이 공룡과의 경쟁에서 도태됐다는 기존 주장과 배치되기 때문이다. 토마즈 술래즈 PAS 고생물학연구소 연구원은 논문에서 “리소비치아 보자니와 같은 트라이아이스 후기의 디키노돈트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
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3일 새로운 유기 분자를 합성하고 있는 박테리아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두 개의 유기 분자를 박테리아가 속에서 결합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실제 자연 ... 자연계의 화학 성분에는 존재하지 않는 물질을
진
화된 효소로 만들어낸 부자연스런
진
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기존의 ‘얼마나’에서 ‘무엇을 언제 얼마나’로 폭을 넓혀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
진
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를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보면 아래와 같은 순서 아닐까. 1. 무엇을 : 고기를 줄이고 채소를 늘린다. 힘들면 장내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식물 식이섬유)라도 챙겨 먹는다. 2.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개발한 방향족 고분자 생산 미생물. 미생물 안의 하얀 부분이 생산한 고분자다. - 사
진
제공 이상엽 교수 거꾸로 석유로 만든 기존의 폐플라스틱을 미생물로 분해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2016년 요시다 쇼스케 일본 교토대 연구원팀이 재활용 폐기물 시설 부근에서 우연히 PET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성능이 훨씬 뛰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엉켜있는 털이 더 쉽게 정리됐고 빗에 묻어 나온 빠
진
털들도 쉽게 없앨 수 있었다. 빗질(핥는) 방향 쪽으로 비스듬히 누워있는 돌기에 엉킨 털 가닥이 걸리면 저항력이 생기지만 돌기가 뒤로 밀려 서면서 힘이 완화돼 빗질이 잘 나가지 않는 현상은 일어나지 ... ...
[박
진
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materialism,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 132-142. ※필자소개 박
진
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1만2000명 이상이 참여한 온라인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AAAS는 이 결과들과 사이언스 편집
진
의 평가를 종합해 ‘올해 과학계를 혁신한 10대 과학 뉴스’를 선정해 20일 발표했다. 2위에는 최초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RNA 간섭 약물 개발 연구가, 3위로는 고에너지 중성미자가 태양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극대화 연구자들은 라마에 독감 바이러스 세 종과 헤마글루티닌 단백질 두 종으로 이뤄
진
백신을 주사한 뒤 혈장을 채취해 형성된 작은 항체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A형 독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줄기를 항원으로 하는 작은 항체 두 종을 골라 각각의 나노항체 부분을 규명했다(SD36과 SD38).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나노입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자연계에서 널리 일어나고 있다는 말이다. 이번에 밝혀
진
검댕 나노입자가 형성되는 메커니즘은 놀라우면서도 아름답기까지 하다. 그럼에도 지구촌 곳곳에서 지나치게 만들어져 미세먼지의 형태로 인체에 침투해 매년 수백만 명을 조기 사망으로 몰아가고 있으니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