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자생존 NO!! 이제 낙(樂)자생존~
KISTI
l
2013.05.02
온기를 느끼면 기분까지 좋아진단다. 실제로 햇볕을 쬘 때 활성화 되는 뇌의 영역은
인간
이 쾌감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영역과 거의 일치하지. 또 얼마 전 파우나 커뮤니케이션 리서치 협회는 고양이가 만족스러워 할 때 보이는 그르렁거림에 무의식적인 치유 효과가 있어서, 부러진 뼈와 손상된 ... ...
생체에 삽입하는 전자신분증, ‘베리칩’이란?
KISTI
l
2013.05.02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명분이든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수집과 일상적인 감시는
인간
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글 : 이중원 서울시립대 철학과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의한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선택적인 과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렌즈와
인간
의 눈은 모두 엄청난 속도로, 그리고 당장에 벌어지고 있는 사건의 면전에서 이미지를 기록한다. 카메라는 해낼 수 있지만 눈 그 자체로는 결코 할 수 없는 것은, 그 사건의 외관을 그대로 고정시켜놓는 ... ...
미래를 여는 브레인 코리아 [2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인류에게 남겨진 최후의 도전과제, 뇌! 인류의 삶을 변화시킬 희망이자
인간
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는 철학이며 바람이다. 그 희망의 중심에 바로 대한민국 뇌 과학자들이 있다. 출연진 김영윤 -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 교수 신형철 -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0년~현재 치매정복창의연구단장 2002년~현재 서울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2005년~현재 국제
인간
프론티어과학기구 본부이사 2008년~현재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실명원인 1위라고 하는데 앞으로 안과에 꾸준히 가면서 조심할 생각이에요.” 2003년
인간
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서 과학계에서는 곧 모든 병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일었다. 유전체만 분석하면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성을 알 수 있다는 기대였다. 질병 유전자를 찾는 연구도 활발하게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하지만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진다. 박 원장은 “2003년
인간
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된 뒤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이 느려진 느낌이 있는데, 이는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라며 “융합연구의 물꼬만 트이면 기술 발전이 급격히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삶의 질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개념이라 깊은 인상을 남겼기 때문이었을까. 그런데 ‘미국
인간
유전학저널’ 3월 7일자에 박 소장의 ‘예언’이 실현된(개념적으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일부가 현생인류의 것이라고 볼 수 없는 Y염색체를 갖고 있다는 것. 미토콘드리아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발병 원인을 알 수 없어 대중들은 그저 두려움에 떠는 수 밖에 없었다. 이름도 섬뜩한 HIV(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가 수년 동안 잠복해 있다가 인체의 면역계를 무너뜨리는 순간 급격히 증식해 결국 환자는 온 몸이 새까만 곰팡이로 덮인 채 죽음을 맞는 것이다. 특히 1985년 전설적인 영화배우 록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수’라고 생각할 즈음 약간 마음에 걸리는 연구결과도 하나 있다. 2010년 ‘미국
인간
생물학저널’에 실린 논문으로 아기가 아들이냐 딸이냐에 따라 모유의 영양분 조성이 다르다는 내용이다. 아기가 2~5개월인 미국 보스턴의 중산층 산모 25명의 모유를 얻어 분석한 결과로 남아 엄마 젖이 여아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