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스페셜
"
거리
"(으)로 총 2,1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아직 한계가 있다. 헬기에 비해 기체가 작아 날씨가 나쁜 날엔 비행이 어렵고 먼
거리
를 비행하기엔 제한적이다. 전문가들은 태양광으로 자체 충전이 가능한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또 비행고도가 낮아 건물과 지상의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테러를 당할 위험이 크다. 이를 위해선 물체를 감지 회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299,792,458미터이다. 그러니까 1미터는 빛이 진공 속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
로 정의할 수 있다. (물론 이 정의가 성립하려면 1초를 다른 식으로 먼저 정의해야 한다.) 광속으로 정의한 1미터의 정밀도는 약 10억 분의 1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광속은 우리 우주의 아주 ... ...
머스크의 꿈이 현실로… 1만2000개 위성 띄워 ‘우주 인터넷’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최소 5500만km로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
38만km보다 약 145배다. 멀 때는 4억 km가 넘는다. 먼
거리
를 여행하는 탐사선과 통신하려면 새로운 행성간 인터넷 기술이 필요한데 중간에 정보를 중계해 주는 위성의 역할이 중요하다. 스타링크를 통해 구축되는 인터넷망은 어디에 있든 초고속 인터넷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좌표가 일정 범위 안에서 정해진 물질이다. 고체를 누르면 살짝 수축하며 원자 사이의
거리
가 약간 가까워질 수 있어도 제멋대로 바뀌지는 않는다. 반면 물 같은 액체는 외부교란이 없을 때 움직임이 없는 것 같아도 확대해 보면 구성 원자(또는 분자)가 요동하면서 상대적인 위치가 끊임없이 ... ...
열선 틀면 전자파 많이 나온다…안전기준에는 부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받은 제품군을 대상으로 제일 대중적인 모델 3종에 대해 제품 동작조건, 제품유형별 측정
거리
와 같은 국내외 전자파 측정표준을 따랐다. 우선 측정대상 제품에서 발생하는 모든 주파수를 확인했다. 발생한 주파수 대역별 전자파 세기를 측정하고 해당 주파수 인체보호기준을 적용했다. 그런 다음 ... ...
"지원 끊긴 北 내년 6월 결핵약 동나…한국사회 마음으로 안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가까운 평안남도, 황해북도에서는 다제내성 치료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황해남도 등
거리
가 먼 지역은 재단 의료진이 1년에 이틀씩 방문할 때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마저도 의료진을 만나러 올 수 없을 정도로 병이 진전된 환자에게는 기회도 없다. 지난해 11월 유진벨재단은 통풍이 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진심이다. 과학은 원래 어렵다. 이 점을 그냥 당연하게 받아들이면 오히려 과학과의
거리
를 줄일 수 있다. 왜 과학은 원래 어려울까? 특히 우리에게 과학이 어려운 이유는 우리 것이 아니어서 그렇다. 어지간한 교양과학책을 펼쳐보면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고대 그리스의 ... ...
지구 궤도 안착한 스페이스X 위성 60기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저궤도 위성은 고도 1000km 이하에서 지구를 돌기 때문에 정지궤도 위성보다 지구와의
거리
가 가깝고 지연속도는 짧다. 하지만 지구와 가까운만큼 지구를 도는 속도가 빨라 특정 지역에 인터넷을 공급하기엔 시간이 짧다. 이를 수천대의 위성을 띄워 연속적으로 인터넷을 제공한다는 것이 머스크의 ... ...
'이름만이라도' 화성行 선택한 335만명…북한도 347명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이 적혀 있다. 발사 예정일은 2020년 7월로 예정돼 있다. 보상 포인트는 로버가 이동하는
거리
만큼이 부여된다. 이번에 부여되는 포인트는 5억 466만 8791km다. NASA는 지난해 11월 화성에 도착한 탐사선 ‘인사이트’에서도 같은 서비스를 실시했다. 당시에 인사이트에 이름을 실어보낸 242만 9807명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탄생의 신비 간직한 '눈사람'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5.19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울티마 툴레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 이유는 태양으로부터
거리
가 가장 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덕분에 울티마 툴레가 태양으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태양계가 생겨날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뉴허라이즌스호가 촬영한 울티마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