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뉴스
"
김
"(으)로 총 3,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인 자존심 걸려” 과기본부장의 눈물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한 달여 만에 일본의 소재 수출규제 사태를 맞았다. 몇 주째 잠을 제대로 못 잔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소재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화학연구원에서 30년간 연구원 생활을 하고 한국화학연구원장까지 지냈다. 뼛속까지 과학자인 그는 일본이 소재, 그것도 화학소재를 가지고 한국 산업을 ... ...
구불구불 뇌혈관 속도 다니는 실지렁이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미세한 것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지름 300µm이하로도 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현재 애먼 파텔 하버드대 의대 메사추세츠병원 신경외과 전문의와 함께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어떤 기능을 향상시키면 좋을지 공동 연구하고 있다"며 "현재 특허 등록 중이며, ... ...
[의학게시판] 해피아이 눈 건강 1-3-6 캠페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원장(왼쪽)과 이상열 한국실명예방재단 이사장(오른쪽).
김
안과병원 제공 ■ 건양의대
김
안과병원은 영유아의 눈 건강 증진을 위해 지난 2015년부터 펼치고 있는 '해피아이 눈 건강 1-3-6 캠페인'을 확산시키고자 27일 한국실명예방재단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 캠페인은 시력이 완성되는 7~8세 ... ...
여름 불청객 비브리오 패혈증 원인은 '시한폭탄' 독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제작해 쥐에 감염시킨 결과 패혈증 독성이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독소는 다양한 병원균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번 성과를 여러 병원균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라며 “독성 유발 인자와 인체 단백질의 결합을 막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 ...
정부, 2022년까지 소재·부품 R&D에 5조원 투자…100대 기술 진단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정비하고 사업 추진 실적을 철저히 점검해 효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번에야말로 과학기술인들이 결과로 보여줄 때”라며 “최선의 결과를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 ...
[의학게시판] 강남세브란스병원, 척추 건강의 날 건강강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망막병원 7층)에서 황반변성을 주제로 '해피 eye 눈 건강 강좌'를 연다. 이번 강좌는
김
재휘 망막병원 교수가 황반변성의 증상과 진단, 치료방법 등에 대해 강의한다. 전화(1577-2639)로 문의하면 된다. ■ 경희대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가 9월 5일부터 '원데이 클리닉'을 매주 수요일과 목요일 8시 3 ... ...
의료폐기물 대란 '일회용기저귀'…과학계 "분리 수거후 즉시 소각만이 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안에서 병원균이 증식할 수 있고, 기저귀가 훼손돼 바깥으로 확산될 위험도 있다.
김
교수팀은 또 하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미 일반 병동에서 배출되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에서도 기저귀가 다른 폐기물들과 함께 섞여 있다는 점이다. 그는 “특히 기저귀는 다양한 병원균이 고밀도로 ... ...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고려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도로의 확장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고 했다. 하지만
김
교수는 "도로 확장의 필요성은 어디까지나 교통 측면만 고려했을 때의 의견"이라며 "비자림로 확장문제가 단순히 교통량이나 공학적인 측면으로 접근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 ...
행복 호르몬 냄새 맡는 '인공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감지했을 때 전류를 통해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안정성 높은 센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
단장은 “인간보다 1000배나 민감한 것으로 알려진 개 코의 후각세포와 기능을 그대로 적용해 마약이나 폭발물 같은 특정 물질을 인식하는 인공 개 코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후각 외의 ... ...
국내 연구진,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우리은하 길이의 약 6% 정도 되는 공간의 왜소신성만 관측할 수 있었던 것이다.
김
선임연구원팀은 한국천문연구원의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을 이용해 먼 거리의 초신성을 관측하는 과정에서 지구에서 약 2만 4000광년 떨어진 왜소신성 ‘KSP-OT-201611a’를 발견했다. KMTNet은 천문연과 캐나다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