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255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을 반도체로 쓴다구요? 이렇게 해보세요
2015.07.22
에너지 머티리얼스’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는 도체
금속
들도 원자 몇 개가 모여서 물질을 이루기 시작하는 초기단계에서는 부도체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 원자가 더 많이 달라붙은 입자가 붙으면서 반도체나 도체로 상태가 변한다. 연구진은 3~4nm(나노미터·10억 ... ...
‘춤추는 나노입자’를 따라서…
2015.07.17
3월에도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함께 이름을 올렸다. 논문에는 그래핀 위에서
금속
나노 와이어가 자라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이용해 ‘그래핀 나노 리본’을 개발한 성과가 담겼다. 박 연구원은 “액체 상태에서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직접 관찰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나노 ... ...
맨손으로 뗄 수 있는 ‘그래핀 스티커’ 개발
2015.07.15
알루미나’ 기판을 제작했고, 이 기판은 그 자체로 촉매 역할을 해 다른
금속
촉매의 도움 없이도 그래핀을 합성해냈다. 기존 제작 공정이 1000도의 고온에서 진행된 데 비해 이번 기술을 사용하면 100도의 저온에서도 합성이 가능해 경제적이기도 하다. 감마 알루미나 기판은 그래핀 과의 접착력이 ... ...
값싸고 성능 좋은 ‘꿈의 촉매’ 개발
2015.07.08
내구성은 더 뛰어난 것이다. 유 연구원은 “인화코발트 촉매는 제조 단가가 귀
금속
촉매에 비해 2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며 “촉매가 나노입자 형태인 만큼 반응면적이 넓어서 수조 크기를 건물 크기에서 컴퓨터 정도 크기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
2015.06.30
밀봉하기 어려웠다. 연구진은 아몰레드 기판 위에 탄성을 가진 고분자물질과
금속
호일을 차례대로 붙이는 방식을 적용해서 가로세로 5cm×5cm 크기의 휘어지는 아몰레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특히 밀봉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가열이 필요하고 이때 아몰레드 성능이 저하되는데, ... ...
솔직히, 터미네이터가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15.06.26
다음 주 터미네이터 5편에 해당하는 ‘터미네이터: 제니시스’가 개봉한다. 액체
금속
터미네이터 T-1000과 신기술 나노 입자로 만들어졌다는 터미네이터 T-3000 등 더욱 강력한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한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한다는 설정은 과학적으로 어디까지 사실일까. ● 현실에서 ... ...
전기요금 절약할 수 있는 기초원리 나왔다
2015.06.24
이산화바나듐은 66도 이하에서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지만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금속
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성질이 변하는 시간도 수십 펨토 초(fs·1000조 분의 1초) 수준으로 초고속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차세대 전자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산화바나듐의 응력을 달리하며 ... ...
초콜릿에 테라헤르츠파 쏘면 이물질 바로 발각
2015.06.18
투과 특성과 빛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어 이를 이용하면 포장된 식품 속에서도 1mm 이상인
금속
, 벌레, 플라스틱 등 이물질을 영상으로 찾아낼 수 있다. 기존 방사선 검사기에서는 머리카락과 벌레 같은 연질 물질은 탐지할 수 없었는데, 이런 단점을 극복한 것이다. 박용곤 원장은 “기술을 ... ...
뱃속 태아에게 중
금속
전달하는 주범, 알고 봤더니
2015.06.17
축적된 오염물질이 태아에게 그대로 전달된다는 것을 보아 환경호르몬이나 중
금속
노출이 다음 세대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라며 “무방비한 노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환경과학분야 학술지 ‘환경과학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5월 22일자에 ... ...
그래핀처럼 테이프 붙였다 떼 냈더니…
2015.06.16
적용되지 않는 것이어서 더 주목받고 있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의 경우
금속
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어 도핑 등 조작을 거쳐야 반도체로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소재는 층 수만 바꾸고 약간의 화학적 처리만 거치면 반도체가 돼 제작 방법이 더 간단하다. 연구진은 이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