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스 바이러스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알려진 코로나바이러스 3개군 가운데 1군과 2군은 동물에게 중증 감염증을, 인간에게
호
흡기감염증을 일으키며, 3군 코로나바이러스는 조류를 감염시켜 중증 기관지염을 유발한다.오버스트 박사는“게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SARS-CoV가 기존 코로나바이러스와는 아주 달랐다”며“사스의 정확한 ... ...
목성 위성의 얼음 두께는 25km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현재 유로파 탐사선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보스토크
호
와 같은 남극의 얼음
호
수를 탐사하면서 공학적인 기초기술을 개발중이다.한편 과학자들의 소원이던 유로파 탐사계획은2003년 미항공우주국(NASA)의 예산에서 제외된 상태다. 대신 유로파를 비롯해 목성의 다른 위성인 가니메데와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계통학은 분류학보다 더 포괄적인 용어이며, 계통발생적 관계 뿐 아니라 생물 상
호
간의 모든 생물학적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현재는 동물분류학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독일의 동물생리학자이며 해부학자인 T 슈반의 저서 1839년에 발간되었다3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에서는 척색(脊索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조성한다. 대체에너지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보급 프로그램으로 태양광 발전 주택 1만
호
보급사업이나 지역별 특성에 맞는 대체에너지 시범마을(Green Village) 조성 등 적극적이고 다양한 정책의 추진이 필요하다.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환경친화적인 대체에너지 시범마을은 올해 내 5개소가 조성될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우주전파네트워크(KVN) 프로젝트다. 이들 세 곳의 망원경으로 각각 관측한 신
호
를 종합·분석하면 연세대 망원경과 탐라대 망원경을 잇는 5백km 정도의 거대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전파망원경의 경우 전파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기 때문에 똑같은 크기의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감염에 의하여 일어나는 급성전염병의 하나 법정 전염병의 하나로서 주로
호
흡기의 점막이 침해를 받기 쉽고 어린이에게 많이 전염된다 유행기는 겨울이다 스테로이드의 젤렌 수소이탈반응에 의해 생성하는 탄화수소 3’-메틸-1, 2-시클로펜테노페난트렌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합성에 의해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위해 행성의 궤도에 진입할 수도 있을 것이라 했다. 또한 그의 우주정거장에는 승무원의
호
흡(산소의 생성과 이산화탄소의 제거)과 식량을 해결할 온실장치도 있었다. 그는 공기, 물, 식량 등을 자체 생태 순환계로 해결하는 완전히 자급자족형의 우주선을 생각했다. 수백년 이상이 소요되는 항성간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사람이 우주에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는 것이다." 지난 2월 초 발생한 컬럼비아
호
폭발사고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계속 우주비행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리 박사의 답변이다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더 파헤쳐 봐야 알 수 있겠다.물론 과거 우주개발뿐 아니라 최근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호
사고에서 봤듯이 유인 우주개발은 우주비행사들의 희생 위에서 발전하고 있음이 명백한 사실이다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外力加振力)으로서의 공기력(空氣力)과 이로 말미암아 생기는 구조의 변형진동의 상
호
관계를 공기역학과 탄성학을 이용하는 항공학 분야이다 라만효과에서 사용되는 입사광의 진동수가 물질의 전자흡수띠에 접근 또는 일치했을 때 라만선 강도가 현저하게 커지는 현상 양자역학적 입자의 충돌에서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