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수학동아 l2011년 02호
- 그는 생애 동안 530편의 책과 논문을 펴냈고 죽을 때 사후 47년 동안 상트페테르부르크 학술원의 회보에 싣기에 충분한 원고를 남겼다. 886점의 책과 논문을 포함해 오일러가 발표한 모든 것을 한데 모은 기념집을 1909년 스위스 자연과학회에서 만들기 시작했는데, 사절판 73권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게 아니라 상황을 완화시키기 위해 지구공학을 적절히 병행하자는 겁니다. 2009년 영국 학술원에서는 지금까지 나온 지구공학 아이디어를 효과, 비용, 시간, 안전성에서 분석하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를 함께 보면서 새로운 대책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400여 명의 전문연구인력을 배출했으며 31회의 국내외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펴며 아시아권의 프로테오믹스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곳에서 세계 공통의 프로테오믹스 교과서도 만들었다. 2003년부터 98편의 국제 표준 실험법과 국제 실험 교재 6권을 발간했다.“프로테오믹스 ...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약 5억 5000만 년 전 단세포생물들만 살아가던 세상에 갑자기 다세포생물이 탄생한 원인을 영국 옥스퍼드대 생명공학생물학연구위원회(BBSRC) 과학자들이 알아냈다.위 ... 크렙스 회로 같은 대사경로를 개발한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분자생물학회 학술지(EMBO Reports) 1월호에 발표됐다 ... ...
- 야생조류의 동성애 원인은 수은?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에 많이 노출될수록 번식률이 낮고 동성 간에 짝짓기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고 ‘영국왕립학술원회보 B’ 12월 1일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연구진은 160마리의 백색 이비스를 40마리씩 네 그룹으로 나누고, 세 그룹에 각각 다른 양의 메틸수은을 넣은 먹이를, 한 그룹에는 보통 먹이를 주는 실험을 3년간 ... ...
- 벼 병충해 막는 유전자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식물의 영양소를 약탈하는지 새로운 경로를 찾았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25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벼는 줄기 속에서 양분을 운송할 때 세포 내에 있는 특정한 통로를 이용한다. 식물세포에 기생하는 병균들은 이 통로를 이용해 식물의 영양분(수크로스)을 빼앗는다. 연구팀은 벼의 많은 ...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그 사실을 한 미국 과학자가 공개적으로 제기해서 더 화제가 됐다. 근거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11월 25일자에 실린 한 쪽짜리 기사. ‘노벨 문서가 논쟁을 촉발했다’는 제목의 이 기사는 실제로 김필립 교수가 유력한 후보였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내비치고 있다. 그렇다면 정말 김 교수는 ... ...
- 2011학년도 과학고 입시, 이색 합격자 늘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학교 급식 배식대에서 학생들이 대기하는 행렬을 수학적 모형으로 분석해 국제청소년학술대회에 발표하기도 했다. 사소한 것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수학으로 생각해 보는 습관이 그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됐다.이예찬 군은 검정고시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한성과학고에 합격해 주목을 받았다. 이 군은 ... ...
- 박테리아 잡는 플라스마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저온 플라스마가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러시아의 가말레야 질병 및 미생물 연구소의 연구팀은 쥐의 감염된 상처를 35~40 ... 갖고 있는 박테리아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학술지 ‘의료미생물학’ 2011년 1월호에 실렸다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09년 7월 인하대 기계공학과 김재환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종이 반도체’를 개발해 국제학술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발표했다. 종이의 성분인 셀룰로오스에 탄소나노튜브를 층층이 섞으면 전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김 교수팀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종이에 전류를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