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간 규모 1조원의 전매사업 뒷받침 한국 인삼연초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종화·농학박사)이다.충남 대전시 중구 신성동 대덕연구단지에 연건평 6천5백여평(3
층
)으로 서 있는 연구소는 인삼연구와 담배연구의 두 분야로 크게 나누어져 있다.인삼연구분야는 인삼의 재배법개선 품질개량 영양관리 병충해방제 성분분석 신제품개발 약리효능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 ...
파괴되는 삼림 벌거벗은 대지는 보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역할을 한다. 삼림지대의 토양 표면에 존재하는 나무뿌리 버섯류 미생물 부식토 등의
층
은 이 체계 내에 자양분을 붙들어 주고 재순환시키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열대우림의 복합성과 구조적 다양성은 믿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 만큼 복잡한 생태계의 미묘한 균형을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앞으로의 황하치수대책에 활용하려는 것이다.어떤 지진학자는 장성이 축조된 곳은 지
층
의 단열대(斷裂帶·지각이 균열된 지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며 과거의 지진에 의한 단열흔(斷裂痕)이나 위치가 어긋난 곳을 볼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이런것을 분석하면 지진학이나 건축학에 귀중한 ... ...
한국 축산의 기초를 닦은 건국대 축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기초를 닦다 처음 문을 열었을때 이 대학은 축산학과와 축산가공학과 2개과 만으로 2
층
건물(3백3평)에서 시작되었다.오늘날에는 처음 2개학과 외에 낙농학과 사료영양학과 축산경영학과 수의학과 등 모두 6개학과에 농학박사 이학박사 영양학박사 경제학박사 농업경제학박사 수의학박사 등의 ... ...
현대 장비 동원 두 건축가가 밝혀낸 피라밋의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닿았다. 2.12m를 파들어갔다. 기술적으로 볼 때 착정기는 더 이상 작동시킬 수가 없다. 모래
층
너머에 있는 암벽을 뚫고들어가야 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한 것이다.하지만 두사람의 목표는 달성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건축가는 20세기의 두 건축가에게 비밀을 밝혀낼 수 있는 충분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 ...
PART6 광자공학재료 광컴퓨터가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쌓아 만든 새로운 전자소자를 초격자소자(超格子素子)라고 한다. 초격자구조에서는 각
층
의 결정이 분자로 20~30개 정도의 두께밖에 되지 않기때문에 터널효과 등 양자효과가 큰 역할을 해, 결정의 덩어리로 된 종래의 전자소자와는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초격자의 가장 중요한 응용의 하나는 ... ...
PART10 고성능 폴리머 분자설계의 위력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생체재료의 연구에 의해 합성폴리머의 새로운 계
층
구조 설계가 얻어진다는 것은 자못 흥미롭다. 아무것도 아닌듯한 생물학의 한 분야가 폴리머의 설계에 강력한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21세기의 도전에 대응해 폴리머는 이처럼 보다 복잡한 구조의 시스템이 될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서서히 불어나기 시작하자 낙동강하구는 한반도 육지쪽으로 후퇴, 기저역
층
위에 하부사
층
이 퇴적되었으나 지금의 낙동강하구일대는 바닷물에 잠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후빙기의 해수면 상승이 최고도에 이르자 김해일대는 해수의 침입으로 내륙의 분지에서 만(灣)으로 바뀌게 되었고, 이때 ... ...
낙동강보존회 회장 구철회 을숙도하구둑공사, 문제너무심각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활동해오고 있는 중입니다." -회원들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학생들을 비롯한 젊은
층
들이 많아요. 교수나 의사 언론인 등 전문직 종사자도 많고, 예술가와 문학인들도 참여하고 있읍니다. 회원수는 6천명이 넘습니다." 부산시 광복동에 사무실을 두고 '洛東江'이라는 회지까지 발간하고있는 ... ...
PART1 정보·통신 광자공학의 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3차원칩을 들 수 있는데, 이 방법을 쓰면 회로소자를 칩의 표면 뿐 아니라 중첩된
층
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가올 광자공학시대의 주역은 갈륨비소를 필두로 한 화합물반도체가 될 것이다. 그밖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분자선(分子線) '에피탁시'(epitaxy)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해 연구자는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