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SPCA)라는 단체가 영국에 설립된 뒤 1860년대 미국에 도입됐다. 다윈의
진화
론의 영향으로 동물과 인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인식이 생겨나면서 동물을 잔혹하게 죽여서는 안된다는 이유였다. 동물실험 찬반론세계적으로 동물실험을 놓고 찬반양론이 거세다. 동물실험을 찬성하는 진영에서는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으므로 생활에 산소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유기호흡은 무기호흡보다
진화
한 호흡방식으로 열량면에서도 훨씬 효율적이다아세틸렌 가스와 산소의 혼합가스를 태울때 생기는 불꽃에서 높은 열을 얻어 접합부를 용해시키고 용접봉을 녹여 보충하여 용접하는 방법 주기율표 6B족에 ... ...
21세기형 만능 공장 디지털 팩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김디지 공장장은 사무실에 들어서자마자 컴퓨터부터 켠다. ‘오늘은 무슨 공장을 지어줘야 하나?’ 김 공장장이 열심히 게시판을 체크하고 있는데 모니터 ... 활용하면 생산성을 2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면서 “디지털 팩토리는 가상공장의 가장
진화
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역사 체험이나 지리여행을 할 수 있다.알아서 모셔 주는 교통 서비스GPS 서비스가 더욱
진화
된다. 갈 곳만 미리 입력하면 자동차가 스스로 알아서 목적지를 찾아간다.우주 곳곳을 보여 주는 우주 지도우주를 여행하기 전에 꼭 봐야 할 것. 바로 우주지도다. 명왕성으로 가는 길은 어떤 길인지,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연인과도 언제든지 포옹하는 느낌을 나눌 수 있다. 포옹도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고
진화
한다.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포옹이 갖는 의미는 다르지만 사랑을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며 “오늘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타고났다. 인간에게 ‘표정 유전자’가 있는 것일까.지난해 10월 이스라엘 하이파대
진화
연구소의 길리 펠레그 박사는 선천적인 시각장애인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표정을 연구했다. 펠레그 박사는 이들에게 기쁘고 슬프고 화나는 경험을 떠올리도록 주문하고 얼굴 표정을 비교했다. 그랬더니 ... ...
떴다! 웹 2.0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해야 할 경우도 있다.웹 2.0이란?2004년 12월 오라일리 출판사의 부사장 데일 도허티가 웹의
진화
라는 맥락에서 도입한 개념. 닷컴 버블 이후 살아남은 닷컴 기업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중요한 핵심 원칙이 발견됐다. 첫째, 플랫폼으로서의 웹과 둘째, 사용자들의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실리콘 소자를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다.현재 선폭의 한계는 톱다운에서 바텀업 방식으로
진화
하고 있다. 게다가 DNA를 이용한 새로운 자기조립도 연구되고 있어 생체화학과 전자공학의 융합분야가 탄생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선폭을 줄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선폭이 줄면 문제가 나타난다. ... ...
당신 얼굴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다윈의 콧대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진화
론’은 빛을 못 봤을지도 모른다. 과학적 열정도 없고 항해를 견디기엔 끈기가 없을 거라며 관상학 신봉자인 비글호 선장이 다윈을 배에 태우지 않았을 테니까. 그리스의 철학자 피타고라스는 관상을 보고 친구를 사귀거나 제자를 뽑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관점에서 설명했다.우리가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는 능력을 갖고 있어 사회적인 동물로
진화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복잡한 사회에서 남의 얼굴을 잘 기억해둬야 그 사람이 나의 동지인지 적인지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책 읽고 TV 보는데 얼굴은 몰라본다? 이런 면에서 얼굴실인증(prosopagnosia)을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