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겨울은 사랑을 부르는 ‘도파민’의 계절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미국 시러큐스대와 웨스트버지니아대 공동연구팀은 사랑에 빠진 사람들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실험 결과 사랑에 빠진 사람의 뇌는 0.2초 만에 도파민, 옥시토신, 아드레날린처럼 기분을 좋게 하거나 흥분시키는 물질을 분비했다.이 중 도파민이 유난히 ‘사랑 호르몬’으로 ... ...
- 아이컨택하면 정말 내 말에 넘어갈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이미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말하는 이의 눈을 많이 볼수록 기존의 자기 의견을 강하게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설득 상황에서 듣는 이와 눈을 마주치는 것은 되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뜻이다두 번째 실험에서 연구팀은 관객(설득의 대상)에게 자신의 주장을 열심히 말하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수학동아 l2014년 02호
- 현재 울산대, 포스텍, 매사추세츠공대, 그리고 하버드대에서 교편을 잡고 활약하고 있다. 자기 문화에 대한 애착이 수학과 결합될 때는 배타적인 이유도 없나 보다 ... ...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20, 30, … 등 10단위로 늘어나는 수, 즉 1, 11, 31, 61, 101, 151, 211, 281, 361, 451, 551, …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떨어지는 소수를 수학자들은 ‘중심 십각 소수’라고 부른다. 중심 십각 소수는 11, 31, 61, 101, 151, 211, 281, 661, 911, 1051, …순으로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아니었다. 사람도 찾지 못하는데 과연 까치가 기억하고 찾을 수 있을까.놀랍게도, 까치는 자기가 먹이를 숨겨둔 장소를 정확하게 기억한다. 한번은 기르던 까치에게 알루미늄 호일로 작은 공을 만들어 준 적이 있다. 까치는 먹을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신기해 보이는 물건도 숨기는 습성이 있는데,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액시온이 광자로 붕괴하는 현상을 관측하는 것으로, ADMX와 같다”면서 “하지만 자기장이 ADMX의 3.5~5배나 되는 등 모든 면에서 훨씬 성능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1~100μeV 질량대가 주 탐색 대상이며, 3년 안에 시설을 완성하고 바로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현재 액시온은 강력하고 우아한 가설로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사람 배꼽 높이인 1.2m에서는 8mG로 나타난 사례도 있다. 765kV 송전탑 바로 밑에서 측정한 자기장 세기와 비슷하다. 최 소장은 “도로 밑에 주로 설치하는 지중화 송전선이 주거지 밑으로 지나가면 더 위험할 수도 있다”면서 “눈에 보이지 않아 방심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다른 이와 쉽게 공유하기도 한다. 그 덕에 수학자는 다른 사람의 고향을 엿보면서 조금씩 자기 마음의 고향을 만들어 가는지도 모른다. 덜컹거리는 차를 타고 산길을 올라갈 무렵, 아름다운 석양이 흑색 전나무 삼림을 붉게 물들이고 있었다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초전도 자석에는 국내에서 가장 강력한 의료용 MRI와 비슷한 7T(테슬라)의 엄청난 자기장이 걸립니다. 만약 코일이 조금만 일정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발생하죠. 조심하지 않을 수가 없어요.”이 과정이 약 10일 걸린다고 했다. 코일과 에폭시가 가지런하고도 촘촘하게 감긴 모습은 사람 손으로 했다고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DNA X 구조선 회절 무늬 사진이 결정적이었다. 직접적인 결정 구조 해석이 아니어도 핵자기공명분광학(NMR) 개발과 같은 업적까지 포함하면 결정학과 관련해서 나온 노벨화학상이나 생리의학상은 20여 개에 달한다. 결정학이 현대 화학과 생리의학의 기반을 이룬 방법이었던 셈이다.이지오 KAIST 화학과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