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국이 물 포화상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비가 폭포처럼 쏟아져 내리니 물난리가 벌어졌어. 산사태로 흙이 집을 덮쳤고, 강이 범람하고, 가축들이 안전한 곳을 찾아 멀리 떠나는 등 생각보다 피해 정도가 매우 심각했지. 산길, 땅길, 물길 다 넘쳤다!장마 전선이 머물다 간 자리마다 피해가 잇따랐어요.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하천과 강이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올해 3월, 특이한 노란색 호박 화석 하나가 학술지 ‘네이처’의 표지를 장식했어요. 이 호박 화석 안에 들어있던 조그만 동물 머리 하나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작은 공룡의 머리라는 연구 때문이었죠. 그런데 최근 ‘오쿨루덴타비스 카운그라에’라는 이름이 붙은 이 화석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지난 7월 23일, CJ 제일제당 본사로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기자 4명이 출동했어요. 이곳에서 친구들은 유튜브 라이브로 충북 진천에 위치한 햇반 뮤지엄을 랜선 투어하고, 햇반을 재료로 한 특별한 쿠킹 클래스에도 직접 참여해 보았답니다. 보고, 듣고, 맛보고, 느끼는 취재 현장으로 함께 떠나 볼까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웅하! 지난 7월 15일 자 기사 인기 투표에서 ‘닥터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이 1위를 차지했소! 이것 참 감격스러운 순간이 아닐 수가 없소. 재미있게 읽어 준 친구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소. 앞으로도 재밌는 과학 영상들을 소개해 주겠소! ‘눈에 보이는 것이 모두 진실은 아니다’라는 말을 ... ...
- [가상인터뷰] 바이킹이 천연두를 전 세계에 퍼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코로나19 때문에 날이 더운데도 마스크를 써야 하다니 너무 불편해! 이렇게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가 과거에도 있었을까? 궁금해서 뉴스를 찾아보니, 모험을 즐기던 바이킹족들도 천연두 바이러스에 감염됐었대. 바이킹, 당신들은 누구입니까?우리는 원래 유럽 대륙 북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 ... ...
- 대벌레 떼의 등장! 다 이유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이곳은 서울 은평구 봉산 해맞이공원입니다. 해발 209m의 낮은 산으로 은평구민이 자주 찾는 산책로인데요. 7월 초부터 이곳 해맞이공원에 등장한 대벌레떼로 인해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대벌레는 생각보다 나쁜 곤충이 아니라고요! 저! 대벌레 기자가 대벌레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핵물리학자는 핵과 같은 미시세계를 탐구하며 물질의 근본을 찾아왔어요. 가속기와 검출기로 물질을 쪼개 더이상 나뉘지 않는 기본입자가 무엇일지 알아내는 실험을 했지요. 오랜 실험 결과, 과학자들은 세계가 17가지 기본입자로 이뤄져 있다고 보는 ‘표준모형’을 제안했어요. 표준모형은 기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잠시 머릿속으로 정자를 떠올려 보세요. 아마도 성교육 시간에 본 영상 속에서 꼬리를 힘차게 좌우로 움직이며 난자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생각날 거예요. 그동안 우리는 정자가 장어처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했어요. 왜냐하면 1677년 네덜란드 과학자 레벤후크가 ... ...
- Let’s dance 인공지능, 안무가로 화려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지난 6월 26~28일, 국립현대무용단은 인공지능이 만든 안무로 공연을 열었어요. 인공지능이 불러온 미지의 세계 ‘블랙’을 뛰어넘는다는 의미를 담은 작품이었지요. 온라인으로 상영된 이번 공연에서 선보인 안무는 미디어아트 그룹 슬릿스코프의 김근형 공학자가 개발한 인공지능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탐험대학이 시작된 지 한 달이 넘도록 온라인으로만 만나던 멘토와 학생들이 집중 탐험을 통해 드디어 직접 만났어요. 집중 탐험의 문을 연 멘토는 나라스페이스 박재필 대표(인공위성), 이화여자대학교 장이권 교수(생태), 서울대학교 박진영 연구원(공룡)이었어요. 각 팀 멘토와 학생들은 마스크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