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원자력발전은 계속 이어질 겁니다. 원자핵공학을 전공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시선이 있지만, 오히려 지금 원자핵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앞으로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는 황용석 교수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의 방향이 원전 축소로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감상하고, 우주인을 만들기도 하는 등 직접 체험해 볼 수 있기 때문이지요. 화면 앞에서 사진을 찍고, 우주복을 고르면 나만의 우주여권을 발급받을 수도 있고, 화면 속에서 자유롭게 우주를 여행할 수도 있답니다. 또 5D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폴라리스’에서는 360°로 펼쳐진 대형 화면을 통해 ... ...
- Part 1. 인공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고고학자가 될 수 있답니다. 시민들에게 주어진 임무는 페루 각지를 촬영한 인공위성 사진 1100만 여 장에서 유적지를 도굴한 흔적을 찾아 분류하는 일이에요. 예를들어 여러 개의 구멍이 있고, 불도저와 같은 기계가 지나간 흔적이 있는 곳은 고고학자들에게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 ...
- [과학뉴스]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필름 제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산처리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구리나노입자를 고르게 합성시킨 나노복합체를 제작했다(사진). 연구팀은 복합체에 전자를 하나 잃은 구리이온을 적용해 그간 한계로 지적된 구리의 산화 문제를 해결했다.이 나노복합체는 일차적으로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손상시키며, 이후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 ...
- [Future] 1회 충전으로 609km 주행, 누가 수소차를 무시하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수소전기차 기술의 완성도는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현재 과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입니다.” 수소전기차 기술의 현주소를 알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찾았다. 장종현 연료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미국 에너지부(DOE)가 올해 6월 작성한 ‘연료전지 연구개 ... ...
- [Culture] 음식의 화룡점정, 소스 분산액&유화액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한가한 일요일 아침, 빵 위에 부드러운 수란과 고소하게 구운 베이컨을 얹은 에그 베네딕트로 하루를 시작해봅니다. 나이프로 수란을 자르니, 노른자가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에그 베네딕트가 맛있는 이유에는 수란과 베이컨도 있지만, 이 재료들을 조화롭게 만드는 홀랜다이즈소스를 빼면 서운 ... ...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작품도 있지요. 그는 “천문 데이터를 소리로 만드는 작업은 정말 멋지다”면서 “이 사진을 통해 눈이 불편한 친구들도 우주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에구구, 너무 늦었네!’ 세상에, 꿈을 꾸는 걸까요? 방금 사람처럼 시계를 보고 혼잣말을 하는 토끼가 지나갔어요. 이대로 토끼를 놓치면 왜 따라가지 않았냐며 친구들이 나무랄 거예요. 말하는 사이 토끼가 온갖 수학 기호와 도형이 빨려들어가는 굴로 들어가 버렸네요. 서둘러 쫓아가 보자고 ... ...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성균관대, 미국 하버드대와 공동으로 빛을 사용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사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세포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의 ... ...
- [과학뉴스] 모래 폭풍, 화성 탐사선 덮쳐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화성 표면의 4분의 1을 짙게 뒤덮은 거대한 모래 폭풍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오퍼튜니티(Opportunity)’를 위협하고 있다. 오퍼튜니티는 태양광 발전으로 가동되는 탐사선이다. 6월 19일 현재 오퍼튜니티는 여전히 모래 폭풍에 갇혀 있다.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