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세종이 수학을 중시하자 여러 나라의 정책들은 안정을 찾게 되었다. 수학의 실용성이
빛
을 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 실제로 생활에 쓰일 수 있는 ‘실학’이 대두되면서 산학이 더욱 중시되기에 이른다. 또, 중국을 통해 서양과학이 들어오면서 수학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하고 주어진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이 돼 다양한 직업에서 수학 능력이
빛
을 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또한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는 “이제는 수학을 이해하는 사람과 나라만이 새로운 과학과 문명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의미에서 수학은 미래 직업을 정하는 기준이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통해 매일 사용 전력과 여유 전력을 관리하고 있다. 화성에서는 먼지폭풍이 태양
빛
을 가리기 때문에, 이곳의 전력 상황은 늘 빠듯하다.외부감시 카메라를 통해 바깥 풍경을 본 나는 환호했다. 제법 먼 곳까지 선명하게 잡혔다! 무려 한 달만이다. 그 동안 먼지폭풍으로 온통 붉은 먼지에 휩싸여 ... ...
아인슈타인 팬클럽 회장 ‘알 슈탄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미션2 어느 외계인이 먼저?“아인슈타인 박사가 1905년에 특수상대성 이론을 발표하지요.
빛
처럼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등속 운동할 때는 시간과 질량이 변한다는 뜻이지요. 여기 원리를 알 수 있는 실험 장치가 있어요.”스타워즈 주인공 두 명이 서로 반대로 광선총을 쏘고 있다. 누가 더 빨리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영상에서 사라졌어요.변용익 교수는 “함양과 산청의 상공에서 폭발해 분리된 별똥별이
빛
을 내지 않고 낙하하는 암흑비행을 거쳐 진주에 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분리된 별똥별은 크기가 작을수록 대기의 저항을 많이 받아 속도가 크게 줄어요. 이는 진주에서도 궤도의 끝으로 갈수록 더욱 ... ...
꿀꺽~ ‘나노주스’로 내시경하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물에 섞어 마신 뒤 영상장비로 관찰하면 소장 내부를 알록달록
빛
나게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물에 잘 퍼지지 않는데다 소장의 혈관에서 흡수돼버리는 단점이 있었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팀은 ‘나노냅’이라는 아주 작은(나노미터 크기, 1nm는 10-9m) 나노 구조물에 염색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행동을 연구할 수 있는 최적의 생물이었다. 벤저 교수는 초파리를 통해서 처음으로
빛
에 반응하는 행동, 즉 주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밝혔다. 그리고 1967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역류장치로 분리된 초파리의 행동 돌연변이들’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선구적인 논문 이후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태양계는 우리은하 중심에서 약 3만 3000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팔에 위치하고 있다.
빛
이 진공 속에서 1년 동안 이동한 거리가 1광년이므로, 우리은하의 크기는 더 이상 우리 머릿속에서 상상조차 하기 힘든 거대한 규모라는 걸 알 수 있다.그렇다면 거대한 우리은하를 좀 더 상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론 완성에 한 걸음 다가서는데, 대학 때 그로스만이 꼼 꼼히 정리해 둔 노트가
빛
을 발하지요. 드디어 아인슈타인은 1915년 11월 자신의 이론에 리만 기하학을 접목시킵니다. 일반 상대성이론이 탄생하는 순간입니다.아인슈타인은 수학자 친구 덕분에 졸업 시험을 통과했을 뿐더러 가장 위대한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
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우리는 눈을 가진 생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빛
이 아닌 냄새나 소리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물들이 자연선택 돼 캄브리아기 폭발을 일으켰다면 어땠을까. 생물체와 생태계는 지금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 말이 없는 삼엽충 화석을 들여다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