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점
결함
결점
티
d라이브러리
"
부족점
"(으)로 총 2,138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돈·LP가스·가습기도 조심 조심 무서운 실내공기 오염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실내오염물질은 호흡기질환 폐질환 알레르기성질환 암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최근 경제수준의 향상과 인구의 도시집중화로 현대인의 생활양식이 크게 변하였다.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상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밀폐된 건물이나 주택 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었다.국내외의 연구조사 결 ... ...
유전공학의 배양기술이 감자농사를 돕는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강원도에는 "마누라는 빌려줘도 씨감자는 안 빌려준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그만큼 씨감자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얘기다.감자농사를 간단히 소개하면 이렇다. 감자중에서 좀 통통하고 실해 보이는 '놈'을 씨감자로 선정, 겨울철에 저장해 두었다가 이듬 해 칼로 2등분 또는 4등분해 땅에 묻으면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우리의 갓난 아기는 태어나자마자 많은 능력을 부여받고 있다. 시력 청력은 물론 어른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는 특기도 있다. 약하디 약한 그들이 생존해나갈 수 있게 하는 버팀목은 무엇일까?소아과의사가 처음 신생아를 만나는 것은 분만실에서이다. 아기가 출산하기 이전에 아기에게 문제가 생기 ... ...
화석연구의 외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우리나라 지층에서 잔출된 화석의 대부분이 일본인명을 따 명명된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국토개발과 지질학의 선택고생물학은 물리학이나 생물학과 같이 아직 우리에게 일반화돼 있는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이학문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 ... ...
컴퓨터 문자코드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처음 부딪히는 장벽은 컴퓨터코드이다. 코드를 이행하는 길이 컴퓨터와 대화할 수 있는 첩경이다.코드의 사전적인 의미는 "법전·규정·규약, 신호법·전신부호"라고 정의하고 있다. 컴퓨터에서 문자코드의 의미는 이중 신호법·전신부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좀더 ... ...
애플신화 재현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퍼스널컴퓨터의 개념을 확립했던 애플신화의 주인공 스티브 좁스가 마침내 돌아왔다. NeXT를 가지고. NeXT는 PC의 세계에 또 한번 격정의 드라마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인가.1977년 4월 샌프란시스코의 시공화당에는 비쩍 마른 청년들이 카드테이블 위에 전선으로 이리저리 연결되어 있는 회로판(circuit ... ...
양과 질에서 형편없는 한국의 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인구 1천만명의 서울에 단 1개의 과학관 밖에 없고 그나마 규모나 전시물, 인원 등에서 외국과 비교하기가 부끄러울 정도이다.3백50만명당 1개꼴굳이 '과학입국'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과학관이나 박물관의 중요성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인류가 지금까지 획득해온 지식을 한곳에 모아 보여 ... ...
내년부터 학교수업에 컴퓨터 활용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이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선을 보인다. 컴퓨터선생님(?)은 어떤 모습일까.ㄷ고등학교의 수학시간. 칠판에 필기하는 소리도, 교사의 설명도, 학생이 질문하는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모두들 컴퓨터 앞에 앉아 '톡톡톡' 열심히 키보드만 두들기고 있다. 그러나 지금 교사는 학생의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안경을 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안경을 잘못쓰는 사람이 그중의 97%나 된다. 안과의와 안경점을 정확히 활용하여 시력을 보호해야겠다.한국안경협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지난 8월에 끝낸 16세 이상의 우리나라사람 안경보유율은 조사대상 인구의 25.7%로 나타났다. 이것은 87년의 같은 조사에 ... ...
일부러 선택한 '고생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과학을 제대로 모르고 반항심에서 입문했다. 과학은 99% 알면 모르는 것과 같다는 정신으로···인간의 기쁨은 확률과 여러모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커트라인선에서 불과 한두 점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합격한 사람의 기쁨은, 넉넉한 점수로 충분히 합격한 사람보다 몇배 큰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연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