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킁킁~ 향기에 취하다 Part3 - 향기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먼저 날아가죠. 미들 노트는 중간 단계, 베이스 노트는 가장 휘발성이 약해 오랫동안
남아
있는 향이지요. 향수를 만들 때는 베이스 노트에 해당하는 향료부터 일정한 양을 담고 다음엔 미들 노트, 마지막으로 탑 노트를 섞어 만든답니다. 만약 거꾸로 넣는다면 베이스 노트를 넣었을 때 탑 노트의 ... ...
신석기 식물에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 식물은 강원도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나온 건데 둥근 뿌리만
남아
있었답니다. 그런데 이 뿌리를 증류수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물)에 넣자 자연적으로 파란 싹이 2개나 돋아났대요. 이 식물은 지하 4m 아래 흙에 묻혀 있었어요. 정연우 연구원장은“함께 발견된 토기가 7000년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편마암 등이 이에 속한다천매암은 재결정작용이 불충분하여 원석(原石)조직이 암석 내에
남아
있다생물학의 한 분과 동물계에서 동물들 사이의 유연관계나 기원 등 계통을 연구하는 학문이다분류학과는 뚜렷한 차이없이 혼용하여 사용되지만 계통학은 분류학보다 더 포괄적인 용어이며, ... ...
살맛 나는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동물의 권리를 지켜줄 수는 없다. 오랜 세월 동물이 살아온 곳은 자연이다. 유전자에
남아
있는 야생의 본능을 발휘할 수 있는 동물원. 이런 곳이야말로 동물에게 진정 ‘살맛 나는’ 동물원이 아닐까.서울대공원 포유류큐레이터의 일기침팬지침팬지는 야생에서 먹이를 찾아 먹는데 대부분의 시간과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복무하고 있다. 2년 10개월의 복무 기간이 끝나면 그는 다시 대학으로 돌아가
남아
있는 한 학기 공부를 마칠 계획이다.오는 9월 미국 MIT 화학과 입학을 앞두고 있는 박세미(23세) 씨도 2003년 제1회 대통령과학장학생으로 뽑혔다. 박 씨는 지난 2월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계속 화학을 ... ...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있다. 또 14세기경 아라비아에서는 이 별을 ‘시험별’(The Test)이라고 불렀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그럼 눈이 얼마나 좋아야 당시 군인으로 뽑힐 수 있었을까. 시력은 보통 분해능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분해능이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같은 밝기의 점광원 2개를 분리해 볼 수 있는 능력을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납작한 별은 기존에 알려진 별 내부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어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다음으로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은? 2005년 4월 국제 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목성보다 약간 큰 ‘OGLE-TR-122b’라고 한다. 천문학자들은 칠레에서 약 200개 별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을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좀생이별 같은 몇 안되는 이름이 서양식 이름과 함께 겨우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이렇게
남아
있는 전통별자리나 별이름도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전통별자리와 별에 대한 지식에 잘못이 뒤섞이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옛날 사람도 견우와 하고를 혼동먼저 원래 별이 아닌 다른 ... ...
흰 설탕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약이 판매된 뒤에도 의사나 환자의 약물 부작용 사례 보고에 의한 4상 임상시험이
남아
있다.영화 초반 우성이 주민들에게 설탕을 나눠주며 피검사를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실제로 1상 임상시험에서는 체내 약물 동태를 검사하기 위해 피검사가 필요하다. 1상 임상시험은 통상 20~80명의 환자에게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1929년에 12발기가 제작된 예도 있으나 오늘날에는 8발의 보잉 B-52가 매우 드문 예로서
남아
있다 오늘날의 다발기는 일반적으로 한 대의 엔진이 고장나도 나머지 엔진으로 수평비행은 물론 이륙과 상승도 할 수 있어서 단발기보다 안전성이 높다 하나의 사건을 관측한 데이터의 변량이 여러 개일때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