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내놓을 폴더블폰은 어떤 모습일까.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장(부사장)을 지낸 김학선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에게 들어봤다. 폴더블폰의 열쇠‘ 폴더블 디스플레이’“폴더블폰이라는 말은 제가 처음 만들었습니다. 2009년 플렉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장점이 있다. 미국 미네소타대 컴퓨터과학과 조셉 콘스탄과 존 리들 교수는 2012년 9월, 과학기술 분야 잡지인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스펙트럼(IEEE Spectrum)’에 쓴 칼럼에서 “아마존은 머신러닝 추천엔진으로 매출이 10~30% 정도 늘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도 협업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개인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계를 형성해왔다. 앞으로도 경쟁과 협력을 계속할 수 밖에 없는 숙명 속에 중국의 과학기술을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일이 조심스러운 건 사실이다. 그래도 이곳 베이징에서 보고 들은 일들이 한국의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연재를 시작한다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신기술이 국민 생활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위해 매년 진행하는 ‘기술영향평가’의 2017년 주제를 바이오 인공장기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11월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아찔하다. 투명한 유리 바닥 아래로 수많은 빌딩의 ‘정수리’가 보이고, 내가 의지할 것이라고는 유리 사이사이에 설치된 철근 뼈대뿐이다. 겁이 없는 편이라고 자신하지만, 상공 500m에서 도시를 내려다 보니 나도 모르는 새 호흡이 빨라진다. 그런데 이때 빨라지는 건 호흡만이 아니다. 당신의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매트릭스, 아이로봇, 터미네이터 등 인공지능을 소재로 한 SF 영화를 보면 암울한 미래를 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간보다 튼튼한 몸과 뛰어난 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이 반란을 일으키거나 이미 인간을 지배하고 있는 세계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지죠. 요즘 들어 이런 이야기가 곧 현실이 될 수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텔레파시만으로 움직인다!‘내 생각을 친구에게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면….’ 이런 상상, 해 본 적 있나요? 최근 과학자들은 텔레파시를 하는 상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특히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연구가 한창이에요. 뇌의 운동 영역은 다른 영역에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반 고흐 방의 진짜 벽 색은? 테오에게. 이번에 그린 그림은 나의 방이다.벽은 창백한 보라색이고, 바닥에는 붉은 타일이 깔려 있다. 위의 글은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쓴 편지 중 일부예요. 미국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연구팀은 편지의 내용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고흐의 그림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자 형질 분석“설명서를 읽어보고 채취봉으로 시료를 채취해 주세요.”2017년 11월 30일. 기자는 서울 마포구 서강대에 위치한 유전자 체질분석 전문 기업 에스엔피제네틱스를 방문했다. 정현섭 이사는 기자에게 시료 채취봉과 설명서, 유전자검사 동의서가 담긴 상자를 내밀었다. 에스엔피제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호’ 발사가 1990년대에 이룬 한국 우주 개발 성과의 전부였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 ‘과학기술위성’ 시리즈를 발사하고, 방송통신위성인 ‘천리안’ 발사, 한국 첫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 개발 등으로 우주기술 개발의 범위를 대폭 넓혔다. 이주희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한국형발사체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