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스페셜
"
유전
"(으)로 총 2,0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시기에 가장 많이 꾸고 나이가 들수록 점차 빈도수가 떨어진다. 또 쌍둥이 연구를 보면
유전
적으로 악몽을 잘 꾸는 체질이 있는 것 같다. 독일의 정신분석학자 에른스트 하트먼에 따르면 ‘경계투과성(boundary permeability)’이 큰 사람들이 악몽을 더 잘 꾼다고 한다. 경계투과성은 성격의 한 측면을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비롯한 이종간 복제 성공 사례나 의약품을 생산하는 복제소 연구, 사람에 이식할 수 있는
유전
자 변형 복제돼지 연구, 당뇨병이나 알츠하이머병 등 질병모델동물 생산 등 여러 연구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물론 최근 화제가 된 매머드 복제 프로젝트도 잊지 않았다. “아무리 잘 보존된 매머드 시료도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겨울잠을 시작하는 단계의
유전
자 발현만 억제된 상태라고 말이야. 이건 다시 말해서,
유전
자를 발현시킬 수 있는 물질을 대량으로 주입하면 방아쇠가 빵 당겨지듯이 겨울잠에 들 수 있다는 얘기야. 또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도메니코 투폰 교수는 쥐에 특정 물질을 주입해서 겨울잠 회로를 켜는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활동을 개시해 유멜라닌을 많이 만들어낸다. 따라서 부모로부터 둘 다 멀쩡한
유전
자를 받은 E/E형이나 한쪽만 멀쩡한 걸 받은 E/e형인 말은 짙은 갈색이나 검은색이지만 ,둘 다 고장난 e/e형은 색이 옅어지고 붉은 톤이 많아진다. 사실 포유류들이야 털 색깔 또는 피부색이 다양해도 대체로 누런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
KISTI
l
2014.01.06
없지만 현재까지 추정해 온 연대와 맞아떨어지는 결과다. 연구진이 이들 사이의
유전
적 거리를 비교한 결과, 먼저 당나귀와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고 그 뒤에 70만 년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다. 그리고 4만 3,000년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다. 길들여진 말과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파스퇴르연구소에 가서도 노벨상수상자인 자크 모노와 함께 점심을 하며 박테리아
유전
학과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화제로 삼았다고 한다. 1960년대 스탠퍼드대에 자리를 잡은 헤르첸버그는 세포를 분류하는 자동화된 장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직접 만들기로 했다. 그는 엔지니어와 생물학자로 된 팀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대사와 성장을 영구적으로 프로그래밍해 노년의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이는
유전
적 요인이나 성인의 잘못된 생활습관이 당뇨와 심혈관질환 같은 만성질환의 원인이라는 ‘상식’을 깨는 도발적인 주장이다. 따라서 바커가 처음 이런 주장을 내놓았을 때 의학계의 반응은 싸늘했다. 런던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웨일즈대에서 농학과 동물학을 공부한 뒤 4년간의 군복무를 마치고 에든버러대에서 동물
유전
학으로 박사과정을 하면서 쥐의 배란을 조작하는 기법을 익혔다. 브리지트 아스코나스보다 몇 년 늦게 국립의학연구소(NIMR)에 취직한 에드워즈는 여성용 피임약으로 쓸 백신을 개발하는 업무를 하면서 ... ...
[채널A] 초소형 ‘박테리아 로봇’ 개발…암치료 새 길 열린다
채널A
l
2013.12.18
건강한 생체 세포를 상하지 않고 암에만 타격이 된다는 것... 연구진은 살모넬라균의
유전
자를 조작해 독성을 100만분의 1까지 줄였습니다. 쥐 실험 결과 박테리오봇은 대장암과 유방암 세포를 정확히 찾아내 캡슐에 들어있던 항암제를 뿌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인터뷰: 민정준/전남대 의대 ... ...
노벨 과학상, 패러다임을 바꿔야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06
검사함으로써 특정 조합을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규명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생화학과
유전
학이라는 분리된 학문의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은 새로운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이론과 방향을 완전히 돌려놓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