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뉴스
"
혈액
"(으)로 총 2,25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카 모기’ 피 빠는 능력 탁월해 질병 빠르게 확산
2016.02.29
이 교수는 “토고숲모기는 숙주의 혈관이나 자신의 침 벽면에서 병원균을 분리시켜
혈액
과 함께 빨아들이는 능력이 강하다. 때문에 이 모기가 병원균을 자기 몸에 지니고 있다가 다른 동물에 옮기는 능력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또 “이집트숲모기도 생태학적으로 토고숲모기와 비슷한 만큼 ... ...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
과학동아
l
2016.02.28
부산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가만히 서 있는 자세는 근육 긴장을 지속시키고,
혈액
순환이 정체된다”며 “잠시라도 걸어 다니거나 움직이는 빈도를 높이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근로자의 건강을 배려하는 직장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한다. 김현주 이화여대 목동병원 ... ...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02.26
효소를 잘 못 만드는 유전자(ALDH2-2)를 가진 사람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분해되지 않고
혈액
속에 쌓이지. 술 마시는 내내 얼굴이 시뻘겋고 머리가 아프니까 술을 많이 마시지 못해. 알코올 의존 환자가 될 가능성도 낮아. 최인근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한국인의 약 25%가 ALDH ... ...
박테리아로 지카 바이러스 잡아볼까
2016.02.22
한 번 감염된 모기와 중복 감염된 모기에게 각각 뎅기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
을 주입해 바이러스를 옮기도록 한 뒤, 타액샘 내 뎅기 바이러스 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한 번 감염된 모기의 뎅기 바이러스 감염성 타액 농도는 6.57% 였지만 중복 감염된 모기의 감염성 타액은 2.89%인 ... ...
[Health&Beauty]섬세한 胃, 추위도 敵 “겨울엔 더 꼭꼭 씹어요”
동아일보
l
2016.02.17
운동을 하면 팔다리의 근육에 전달되는
혈액
양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위장으로 가는
혈액
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홍 병원장은 “소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식사 뒤 20∼30분 정도 쉬고 난 뒤 산책 등의 가벼운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며 “특히 저녁 식사 뒤에는 활동량이 더 부족해지기 ... ...
[Health&Beauty]만성화되는
혈액
부족 사태… 無수혈 치료로 해결한다
동아일보
l
2016.02.17
1회 투여 시 40분 이상 소요됐다. 박 교수는 “고용량 철분주사가 더 활성화돼 만성적인
혈액
부족 사태가 해결되는 데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 ...
원주 C형 간염 집단 발병 병원, 주사기 이어 일회용 키트 재사용 의혹
동아일보
l
2016.02.15
이론상 C형 간염 환자가 5000명에 이를 수도 있다. 보건당국은 한양정형외과에서
혈액
을 원심분리할 때 쓰는 일회용 키트를 재사용했는지 조사 중이다. 일회용 키트 재사용으로 C형 간염이 퍼졌다는 의혹을 밝히기 위해서다. 키트 가격은 하나에 3만∼10만 원 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은희 ... ...
또 주사기 재사용 집단 C형간염
동아일보
l
2016.02.13
집단 발생은 주사기 재사용 때문으로 분석됐다. 원주의 C형 간염 감염자들이 모두 본인
혈액
에서 추출한 혈소판을 재주입하는 자가혈 주사시술(PRP)을 받았기 때문. 당국은 1차적으로 2011∼2014년 이 병원에서 PRP를 받은 927명을 조사해 115명의 C형 감염자를 찾아냈다. 이 중 101명은 즉각 치료가 필요한 ... ...
움직이지 마! 투명새우 보일라
과학동아
l
2016.02.10
것으로 확인됐다. 얼음보다 빛 굴절률이 낮은 눈이 불투명한 흰색으로 보이는 것처럼,
혈액
이 근육의 빛 굴절률을 떨어뜨려 불투명하게 보이는 것이다. 이 연구는 1월 6일 통합 및 비교 생물학협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 ...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6.02.08
투입한 뒤 메르스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3주 뒤 백신을 맞은 낙타는 비점막과
혈액
내에서 충분한 양의 항체가 생성된 반면, 그렇지 않은 낙타는 콧물에서 메르스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바이러스 전염과 전파의 고리를 끊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