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55건 검색되었습니다.
편두통 고통에서 자유롭게 한 과학자 4명 '브레인 프라이즈'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교수와 에드빈슨 국제두통학회 회장은 편두통을 유발하는 핵심 화합물이 혈액 내 칼슘을
조절
하는 호르몬인 ‘칼시토닌 유전자와 관련된 신경 펩티드(CGRP)’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올슨 교수는 추가 연구를 통해 CGRP를 차단하는 약물이 편두통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대규모 임상을 통해 확인했다. ... ...
[과기원은 지금]KAIST오픈벤처랩, 기출창업 예비창업자 모집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미세유세칩 내부 액체 증발 현상만으로 약물과 신경전달물질 같은 저분자 물질 투입을
조절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액체 흐름이 증발이 일어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이용해 1시간 만에 기존 농도의 256배로 농축하는 게 가능하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 ...
[한 토막 과학상식] 초전도 현상 보이는 강상관계 물질 '훈트 금속'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훈트금속인 ‘NiS2-xSex’ 물질에서 셀레늄 도핑을
조절
해 전자 사이 상호작용의 세기를
조절
했다. 물질의 에너지띠를 확인하는 각분해 광전자분광법을 사용해 분석한 결과 낮은 온도에서 전자 띠구조가 뒤틀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양자역학을 이용해 물질의 성질을 계산하는 제일원리계산을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에는 생체시계 네트워크가 있다
2021.03.02
미국 소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유전자 발현
조절
에서 중요한 발견을 했고 1989년 유전학・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에 실험실을 차려 연구를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관심이 있던 유전자의 발현량이 하루 주기로 오르내린다는 사실을 발견한 그는 생체시계와 관련된 생물학으로 연구의 ... ...
바이러스 전문가 "국내 코로나 상황 '바싹 마른 겨울 장작' 같아...잘 관리했지만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유튜브 캡쳐 신형식 을지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의 ‘코로나19
조절
가능한 질병인가’를 주제로 한 발표와 함께 황응수 서울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와 백경란 성균관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 이상일 울산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이영완 한국과학기자협회장(조선일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위해 개발돼왔다. 치료 전략은 다양하다. 항원 단백질과 결합해 세포의 신호전달을
조절
하여 병을 치료하는 전략, 암세포 표면에 붙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전략 등이 있다. 또 최근에는 항체에 방사선 물질이나 항암화학약물을 부착하여 암세포에만 해당 물질을 ... ...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위해서는 플라스마 난류와 자기섬 등 플라스마의 움직임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요인을
조절
해야 한다”며 “난류를 제어해 자기섬에 의해 플라스마가 붕괴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데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14일자에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코로나 백신 도운 'AI 단백질 모델링'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바이오에는 면역회로를 유전적으로 합성해 면역세포 활성을 높이거나 면역물질 생성을
조절
해 면역세포 치료 효과를 높이는 ‘합성 면역’ 기술과 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교정기술 등을 활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단일세포 교정기술’, 나노구조체 표면에 항원을 심어 기존 항체보다 작고 효과적인 ... ...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배승철·황일두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전문가다. 물과 광합성 산물이 이동하는 관다발 발달제어 원리와 식물 줄기세포의 활성
조절
원리 등을 세계 처음으로 밝혔다. 관다발 식물의 체관 발달에 관여하는 단백질 ‘줄기’를 발견해 토마토, 감자, 콩에 적용하고 지능형 농장에 최적화된 바이오매스 생산용 작물로 개발해 작물 생산성 ... ...
면역 거부반응 없는 환자 맞춤형 인공근육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1
PCL 파이버는 골격근 결손 부위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길이와 다공성을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 개발한 PCL 파이버에 피부세포를 근육세포로 전환하는 ‘직접교차분화기술’을 활용해 근육세포를 배양했다. 비교적 채취하기 쉬운 자가 피부세포를 이용해 이식에 필요한 근육 세포를 확보하고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