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뉴스
"
약물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
과학동아
l
2018.05.29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이중 가교’ 기술을 통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펩타이드
약물
을 개발했다. 10~15개의 아미노산 중 시스테인 4개를 두 개의 다리로 한 쌍씩 연결해 고리 구조를 제작한 것이다. 시스테인 연결 부위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되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에 뿌리는 살생물제에 대한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8.05.19
긍정적으로 변한 원핵생물들을 선별해 자정 작용을 돕는데 사용하자는 발상이다. 그는 “
약물
에 의해 원핵생물 등의 박테리아가 꼭 나쁘게 변하는 것은 아니다”며 “오염물질을 이용하는 능력을 가진 박테리아를 배양해 생물의 자정을 돕는 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와인 성분이 심장병 치료 돕는다...정맥주사만으로 심장에
약물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18.05.16
등이 정상에 가깝게 호전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심장질환과 관련한
약물
들이 많이 개발됐지만, 투여할 방법이 한정적이었다”며 “정맥주사를 이용하면 반복 투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심장질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영아 아토피 피부염, 원인은 장내미생물 불균형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장내 미생물의 어떤 대사산물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찾아낸다면, 이를
약물
로 만드는 파마바이오틱스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알러지 앤 클리니컬 이뮤놀로지’ 4월호에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억제 신호가 강화돼 젊은 생쥐처럼 적당히 가려움을 느끼는 수준으로 돌아갔다. 즉 이런
약물
을 나온다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만성적인 가려움 증상을 치료할 수 있을지 모른다. 참고로 알레르기 같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가려움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는 메르켈 세포수 감소로 인한 물리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하지 않을까. 여러 정황상 꽤 효과가 있어 보이는
약물
이 이미 개발돼 있는데 환자가 이를 써보지도 못한 채 죽게 방치하는 상황이 더 이상 계속되지 않기를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유명여배우 떨게한 ‘BRCA1’ 유전자 막는 신약?... 유방암 임상서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01
약으로 시판될 경우 항암치료 전에 브라카 유전자의 돌연변이 여부를 검사한 다음
약물
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임상실험을 담당한 찰스 스완튼 ICR 교수는 “신약 물질의 부작용도 거의 없는 걸로 확인됐다”며 “브라카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의 유방암 진행을 막는데 효과적일 ... ...
南의 한의학, 北의 고려의학이 협력하면?
과학동아
l
2018.04.30
약전(북한 약전)’으로 고려약의 품질규격을 수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약물
을 부르는 방식에도 차이가 생겼다. 가령 남한 약전에 ‘황기’ ‘길경’ ‘결명자’ 라고 부르는 약재를 북한에서는 각각 ‘단너삼’ ‘도라지’ ‘결명씨’ 등으로 한자를 최소화하고 순우리말에 가깝게 부른다. 몇 가지 ... ...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수 있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의료용으로 사용 하려면 조영제나
약물
자체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면서 “이미 체내에 존재하거나 분해 가능한 생체친화적인 물질로 나노입자를 만드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현 교수가 이끄는 ... ...
[카드뉴스] 이렇게 음식 중독이 된다
2018.04.28
뇌 전체가 행복감을 느끼고, 이런 쾌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중독되죠. 이는
약물
이나 알코올 중독 과정과 유사합니다. 실제로 음식에 탐닉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해보면 매우 비슷한 활성을 띤다고 하네요. 무리하게 굶어 음식중독 등의 부작용을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