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내에서 즐기는 포뮬러원(F1) 드래그레이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태양
에너지로 달리는 초소형 모형 자동차다. 효율 높은
태양
전지판과 강력한 모터가 달려 있어 햇빛이 약할 때도 잘 달린다. 뛰어난 성능뿐 아니라 예쁜 디자인이 눈길을 끈다.{BIMG_c43수소자동차호리즌 | 19만 8000원물로 자동차가 움직이는 시대가 왔다. 미국 호리즌사가 개발한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 사람이 자신의 기술을 공개하면 다른 기술자들은 이를 보고 더 좋은 효율을 내는
태양
전지를 만들 수 있다. 더 좋은 기술을 만드는 면에서나 중복 투자 방지 면에서 효과가 크다. 이 때문에 실제 특허를 낼 때는 자신이 아는 모든 노하우를 다른 사람도 보기 쉽게 그림과 함께 자세한 설명을 적어서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구에서 관측할 때 하늘의 별들은 1년에 50″(1″는 3600분의 1°) 정도씩 황도(천구 상에서
태양
이 움직이는 길)를 따라 동쪽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이 세차운동 때문에 오늘날 춘분 저녁에 보는 밤하늘과 약 1400년 전의 신라시대 사람들이 춘분 저녁에 봤을 밤하늘은 차이가 있다.계산을 통해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반도체 칩은 전기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더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또 청정에너지인
태양
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데 있어서도 나노물질을 이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3. 어디에 있어요?전 세계 대부분의 대학에서 연구하고 있다. 국내 대학에서는 나노과학을 이용해 암을 진단하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계절에 따라 사는 곳을 옮긴다. 새들이 방향을 찾는 데는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다.
태양
이 비치는 방향을 나침반으로 이용하기도 하고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길잡이의 근거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 때에 따라서는 계절에 따른 바람 방향을 근거로 한다는 견해도 있다. 철새의 이동 본능은 유전적인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세기는 당시 존재하던 어떤 빛보다 강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작은 지점에 모인 빛은
태양
표면보다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딱딱한 물체에 구멍을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가 만들고자 한 것은 오늘날의 레이저 빔 장치의 원형인 셈이다. 1959년 6월 미시간대에서 열린 광학 펌핑에 관한 회의에서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은하의 한가운데는 질량이
태양
의 수백만~수천억 배에 이르는 초거대 블랙홀이 자리하고 있다. 이 블랙홀은 기체와 먼지를 게걸스럽게 먹거나 중력으로 물질을 끌어들인다. 새 항성이 형성되는 데 필요한 차가운 기체를 자체 은하에서 빼앗기도 한다. 이런 경우 새 항성이 더는 생성되지 못하고, ... ...
신비로운 구름, 오색 채운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권적운과 같이 높은 고도의 구름에서 작은 얼음 알갱이나 물방울과 같은 구름입자가
태양
빛과 부딪혀 산란되기 때문이다. 구름 입자가 햇빛을 일관되게 산란시키면서 특유의 아름다운 무늬가 그려지는데, 관측자의 위치나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난다.지난 3월 8일, 서울 상공에 약 3 ... ...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주장했어. 체질을 알면 같은 병이라도 더 정확한 치료를 할 수 있다는 거야.
태양
인은 머리가 크고 목이 튼튼하지만 대체로 마른 편이고 태음인은 체격이 크고 살이 찐다고 해. 또 눈이 크고 가슴 부위가 발달한 사람은 소양인, 어깨가 좁고 엉덩이 부위가 발달한 사람은 소음인으로 나누지.신비한 4의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추린 적이 있다. 천문학 분야에서 고인은 단연 첫 손가락에 꼽히는 ‘베스트 필자’였다.
태양
계와 은하, 외계 행성을 넘나들며 흥미진진한 우주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고인의 글은 마치 옆에서 들려주는 듯 생생했다. 2006년 초에 서울 종로구 동아일보사에서 열린 과학동아 20주년 기념식에서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