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인류의 삶에 공헌한다’는 UNIST의 비전이 필자의 근본적인 바람과 꼭 들어맞는 점에 끌려 UNIST로 진학을 결심했고, 2011년에 입학했다.UNIST는 입학할 때 전공을 정하지 않는다. 덕분에 1학년을 보내면서 나중에 어떤 전공을 선택할지 많이 고민하고 탐색할 수 있었다. 전공 선택을 위해 교수님들과 ...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지능은 특정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원하는 모든 지식과 기술의 집합이라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IQ 검사는 미 해군 선발용에서 시작현재 개발된 각종 지능 검사법은 인간의 지능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을까. IQ가 상위 2%에 포함되는 사람만 회원으로 받는 멘사(Mensa) 시험은 어떨까.멘사 ...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생일 축하합니다~. 생일 축하합니다~. 사랑하는 수학동아~, 생일 축하합니다! 여러분 수학동아의 열 번째 생일이에요. 이번 요리는 도저히 케이크를 만들지 않고는 넘어갈 수 없네요. 오 ... 여러분도 꼭 따라서 해보세요. 그리고 수학동아 10주년도 함께 축하해주신다면 100점 만점! ...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중간 농도로 맛봤을 때는 혀끝과 입술뿐만 아니라 혀 전체, 입술, 입천장, 뺨 점막 등 더 넓은 범위로 자극이 확산됐다. 구강에서 산쇼올에 의한 자극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부위는 혀끝과 혀 측면이었고, 자극이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는 부위는 입천장과 입술이었다. 마라탕을 먹으면 혀에서 먼저 ... ...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시작은 불, 그리고 이를 만들어낸 탄소가 연 셈이다.이후 탄소의 역할은 산업혁명에서 정점을 찍었다. 탄소 덩어리인 석탄을 본격적으로 연료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인류의 생산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맹독성인 일산화탄소 배출을 최소화한 보일러의 개발은 산업혁명의 핵심이었다. 또 19세기 ...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김 군의 집중력 점수가 운동 처방 전 43점에서 운동 처방 후 51점으로 소폭 향상됐지만, 달리기 효과만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서 양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어느 정도 예상한 일이었다. 실험 기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위원은 “태릉선수촌에 ... ...
- 프로젝트 밴드 닥터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설명했다. F=ma에서 힘을 나타내는 ‘F’가 스타워즈의 ‘포스(force)’와 동일한 단어라는 점에 착안해 스타워즈의 SF적 분위기를 살리는 데도 신경 썼다. 특히 방송에서는 스타워즈 주제곡의 도입부를 곡의 간주에 삽입해 SF 느낌을 살렸다. 또 멤버들이 1970~1980년대 SF영화 마니아처럼 옷을 입어 SF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받은 날은 내 생애 가장 행복한 날이었다." ▲ ISS에서 바라본 캐나다의 모습. 빨간 점으로 표시한 부분이 캐나다 동쪽 끝부분에 있는 퀘벡이다. 캐나다는 북극과 인접해 ISS에서 내려다볼 수 있는 지역이 제한적이다. ISS에서 캐나다를 바라보는 게 소원1983년 몬트리올에 있는 퀸 엘리자베스 병원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꼴치탈출의 비법, 미션 수업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자연스럽게 소개한다. 또 완성된 그림에 색칠을 하며 여러 개의 선이 모여 면이 생긴다는 점도 설명해 점, 선, 면의 개념을 익히도록 한다.“2학년 학생들에게는 도형 자르기 미션을 줬어요. 정사각형이나 원을 직선으로 잘라 이등변삼각형을 만들어 보는 미션인데 학생들이 처음 해보는 활동이라며 ... ...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재료과학 분야 저널에 발표한 전체 논문의 점유율(6.75%)보다 피인용 상위 1%에서 차지하는 점유율(6.94%)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글로벌 학술정보회사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의 보고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가장 많은 상위 1%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