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터뷰"(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장이 예뻐 보일 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신경과학자가 입이 무거운 사진작가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길랏 박사의 이야기를 e메일 인터뷰로 들어봤다. 과학자가 왜 갑자기 사진작가라는 새로운 직업에 도전했을까. 사실 길랏 박사는 13살에 아버지에게 카메라를 선물 받은 후부터 꾸준히 사진을 즐겼다. 주로 신경과학 관련 학회 때문에 ...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시험과 박물관과 미술관의 학예사 자격제도 등이 있다.미니 인터뷰★넥슨컴퓨터박물관 유광민 아키비스트권영남 : 디지털 기록물을 어떻게 보존하나요?유광민 아키비스트 : 디지털 기록물을 보존하는 방법에 대한 논문만 수십 편이 있을 정도로 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이중에서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제임스 다이슨은 무척 까다로운 엔지니어다. 2009년 처음 출시한 ‘날개 없는 선풍기’가 세계 67개국에서 판매될 정도로 성공을 거뒀는데도, 이번엔 소음을 참기 어려워 또 일을 냈다. 무려 3년간 68명의 엔지니어가 소음 문제에 매달렸고, 결국 소음을 최대 75% 줄이는 데 성공했다.“어렸을 때부터 ... ...
- 가면을 쓰는 비용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일부 학생에게 인터뷰 도중 자신의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을 숨기도록 요구했다. 인터뷰가 끝난 뒤에는 간단한 공간지각력 테스트를 했다. 그 결과 단 10분 정도였지만 자신에 대한 정보를 숨긴 사람이 숨기지 않은 사람보다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졌다(정답을 맞춘 비율 57% vs. 47%). 이후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줄 수 있나요?나는 신문 읽는 것을 좋아하지만 파파라치는 싫어해요. 당신의 태도를 보고 인터뷰 여부를 결정할게요. 근데 당신이 어디서 왔는지 까먹었어요.저는 한국에서 왔어요. 혹시 한국에 대해 알고 있나요?음, 아시아에 있는 나라인가요? 당신은 그곳에서 얼마나 살았나요?저는 한국에서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그런 의미에서 이들은 한국이 몇 년 안에 쏠 달 궤도선에 관심을 보였다. 피터스 교수는 인터뷰에서 “한국과 기회가 된다면 같이 연구하고 싶다”며 “처음 시작하는 한국으로서는 어떤 임무가 (성공) 가능성이 있는지 판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단 시작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천재인 한 교수를 보며 학문에 좌절을 느끼고 공부를 포기할까, 고민했다던 겸손함이 인터뷰 내내 배어나왔다. 책에서도 ‘허영’을 경계하더니, 사진을 찍을 때도 “이렇게 자신만만한 표정을 지은 적이 없다”며 겸연쩍어했다. 그래도 한국을 대표하는 천문학자인데, 이대로 넘길쏘냐, 마지막으로 ... ...
- 원숭이도 덧셈을 한다고?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있습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원숭이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인터뷰먼저 진행한 실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저를 포함한 원숭이 세 마리가 4개월 동안 이번 실험에 참가했어요. 실험은 미국 하버드대의 신경과학자 마거릿 리빙스턴 교수님이 진행했고요. 처음에 교수님이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 감기에 걸리면 병원에 가듯 스마트폰 중독도 상담을 받아 고치도록 노력해야 한다.인터뷰 이상희 선생님대학 갈 때까지 스마트폰 안 돼!초등학생의 공부를 가장 크게 방해하는 것은 스마트폰이에요. 대학에 갈 때까지 스마트폰을 쓰지 마세요. 부모님들은 아이들과 연락하려고 스마트폰을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생명 과학도도 생물학만 배울 게 아니라 기초과학을 깊게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를 도와준 강봉균 교수는 “요즘 한국 대학은 1, 2학년때 기초과학을 깊게 배우고 3학년 가서 전공을 많이 배운다”고 전해 줬다.네어 교수의 대답은 내내 부드러웠지만 최근의 연구환경을 묻는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