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자율주행하는 데 딥러닝을 적용할 수 있다는 연구는 많습니다. 하지만 쉽게 못하는
이유
는 바로 ‘신뢰성’ 때문입니다. 딥러닝은 분석 결과를 내놓을 뿐 왜 그런 판단을 내렸는지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기 때문이죠.그래서 컴퓨터과학자들은 판단 근거를 알 수 있는 ‘설명 가능한 ... ...
[원주율] 어서와~ 이런 원주율은 처음이지?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원주율을 단순히 원둘레와 지름의 비율이라고만 알고 있었다면 깜짝 놀랐을 거예요. 당구 게임처럼 두 개의 공이 서로 부딪히는 상황에서 원주율이 튀어나왔으니까요. 그
이유
를 저 원주율이 직접 설명해드릴게요! ...
[가상인터뷰] 비둘기는 머리카락이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생길 확률이 높았죠. 하지만 깃털 색과 발가락 기형은 서로 관련성이 없었어요. 선천적인
이유
가 아닐까 추측한 프레데릭 교수팀은 둥지에서 처음 나온 어린 비둘기를 관찰해봤지만, 이들에게선 기형이 나타나지 않았지요.여러 요인을 분석한 결과, 비둘기가 주로 활동하는 장소에 따라 발가락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말이죠. 바이킹, 식량이 부족해 그린란드를 떠났다?바이킹들이 그린란드를 떠난
이유
를 찾기 위해 고고학자들은 바이킹의 식단을 분석하기로 했어요. 생존에 필수적인 식량에 증거가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니까요.고고학자들은 그린란드의 바이킹 유적에서 발견된 유골의 치아 동위원소를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안녕하세요, 다시 사향소예요. 여러분의 말씀을 들으니 정말 영구동토가 녹으며 별별 일이 다 벌어지고 있군요. 저도 최근에 보았던 별난 일 몇 가지를 말씀드 ... 영구동토가 녹는 데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영구동토가 녹는 근본적인
이유
는 아마 다른 곳에 있지 않을까요 ... ...
[한페이지 뉴스] 암수 공동생활, 왜 영장류에 많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전체의 9% 정도다. 하지만 영장류는 이보다 많은 약 29%가 짝을 이뤄 함께 지낸다. 최근 그
이유
를 연구한 논문이 나왔다.에카드 헤이만 독일 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페루 아마존 지역에 서식하는 붉은 수염 원숭이(Plecturocebus cupreus)에 대해 지역별로 7개 그룹의 암수 ... ...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보조금 제한 등으로 지자체 공모에 선정돼야 수소차를 살 수 있다. 수소차가 비싼
이유
는 다른 차에 없는 연료탱크와 연료전지 스택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연료탱크는 연료인 고압 수소 저장 탱크다. 연료전지 스택은 연료전지 셀을 쌓아놓은 것이다. 정성욱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구실장은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디브컴에게 봉사하기로 합니다. 만약 인간성을 획득한다면, 인공지능의 명령을 들을
이유
가 없으니 모오델의 요구는 무의미하게 됩니다. 데이터만으로는 인간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프로스트는 모오델과 함께 지구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인간이 느꼈을 법한 감정에 관해 알아봅니다. 하지만 인간이 ... ...
[연재작 출간 기념 책수다] 숙녀들의 수첩, 수학이 여자의 것이었을 때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게 마음에 들었어요. 저도 생물학을 전공한 게 그냥 나비 날개가 예뻐서라는 단순한
이유
거든요. 언젠가 우리 만화를 보고 수학자가 됐다는 친구를 만나면 정말 좋겠어요. 다솔 전 취재 뒷담을 13편이나 쓰느라 힘들었지만 작가님과 의논하며 만화를 진행하던 생각이 나 재밌었어요. 작가님이 아녜시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수학자들이 이런 확률론적 방법을 떠올렸음에도 콜라츠 추측을 해결하지 못한
이유
는 점근 밀도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많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타오는 ‘로그 밀도’를 사용해 거의 성립하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로그 밀도는 수들의 밀도를 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점근 밀도보다 정확도는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