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전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완성
마무리
극치
d라이브러리
"
완벽
"(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당겨 접고 집을 만드는데, 점점 성장해 가면서 한개의 잎에 여러개의 잎을 첨가해 몸은
완벽
하게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밤에 잠깐 나와서 먹이식물을 먹고는 낮에는 집속에서 지내며 그 속에서 번데기로 변한 후 어른벌레가 된다.주머니나방과에 속하는 차주머니나방의 애벌레는 실을 토해내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계속의 엄청난 수에 달하는 별들에서 쏟아져나오기 때문이다.한편 그러한 중성미자들이
완벽
하게 무질량이라면 우린 우주에 관한 매우 원론적인 질문에 대해 답을 찾아야만 한다. "우주는 언제 끝날까?"가 바로 그것이다. 아주 미약하나마 '질량있는' 중성미자들이 많고많다면 우주의 '기본주요질량 ... ...
죽어서도 영원히 사는 미이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처음이다. 고대의 이집트인들은 사후의 세계를 믿었다. 그들의 내세관은 그 자체로
완벽
하긴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생각이 나타나 서로 모순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집트인은, 사자(死者)는 비록 무덤안에 있지만 멀리 떨어진 축복받은 내세에서 여러 신들과 교류하면서 산다고 믿었다. ... ...
3 우주 이용한 첨단산업에 앞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및 조립기술이라기 보다 작은 부품의 설계에서부터 전체 로켓의 완성까지 모든 것이
완벽
하게 서로 일치해야만 하는 유럽 우주기술의 정교함을 보여주는 것이다.아리안 로켓은 유럽 우주기술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작으면서도 체계적이고 그러면서도 치밀한 유럽인들의 생활 구조와 어쩌면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않겠느냐는 것이 김소장의 바람. 동호회 회원들이 모이면 이들을 교육시킬 준비는 거의
완벽
하게 돼 있다. 거미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현장에서 실습할 수 있는 거미사육장을 경기도 남양주군 운길산에 마련해 놓고 있다. 현재 이 실습장은 동국대학교 생물학과 학생들의 교육장소로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멤버 「큰사람」으로 독립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통신용 소프트웨어.풀다운 메뉴와
완벽
한 마우스 지원.자체 한글 내장.다양한 스크립터 지원.음악기능 지원.Z모뎀 내장.다운로드(download)/업로드(upload)시 멀티태스킹 가능.내장 에디터 지원.각종 그림문자 사용 가능.8백*6백 모드 지원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생기니 이제 더 이상 에너지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 고속증식로 기술이
완벽
하게 확보되면 우리 인류는 앞으로 수백만년 동안 전기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속증식로란 천연 우라늄(U)속에 99.3%나 들어 있으면서도 핵분열을 일으키지 못해 핵연료로서의 가치가 없는 우라늄238을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우주가 '열린' 우주이거나 '닫힌' 우주이거나 상관없이, 과거 초기 우주의 모습은 거의
완벽
한 '편평 우주에 다가가는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강력히 분리되는 대통일장 시기에 우주는 대략 ${10}^{-52}$의 오차 범위내에서 '편평' 우주가 된다. 이는 만약에 신(神)이 이 시기에 ... ...
옛 소련 원자로 허점 투성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때 최악의 경우 취성파괴가 일어나고 노심은 일시에 녹아버린다. 대형 원전사고의
완벽
한 시나리오다.세번째 문제는 옛소련측 가압용기의 내벽 지름이 서방국가의 그것 보다 작다는 것이다.옛소련 가압경수로 VVER-440 모델V230은 내벽 지름이 34㎝밖에 안돼 동일 출력의 웨스팅하우스 원전 보다 1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것 역시 유력한 근친번식의 증거가 된다.분화구의 최근의 역사를 좀더
완벽
하게 알아내기 위하여 팩커교수는 1986년에 포스부루크의 집을 직접 방문했다. 그는 1960년대에 흡혈파리의 피해로부터 살아남은 사자의 사진을 보기를 원했다. 포스부루크는 자연보존을 위한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데 그의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