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레이더로 추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7600t)에는 최대 1024km
밖
의 목표물 1000개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고성능 레이더가 탑재됐다.하지만 우리나라가 직접 요격하기란 사실상 어렵다. 우리나라의 미사일 요격 능력은 저고도 미사일에 국한됐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군의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머리
밖
에서 전류를 흘려 뇌를 자극하는 방법은 200여 년 전에 유럽의 의학자인 알디니, 록웰 등이 처음 시도했다. 그러나 사람에게 안전한 전류량과 전류를 흘리는 시간을 알아내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0년 전 부터다. 뇌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는 ‘경두개직류자극기(tDCS)’라는 기계를 ... ...
건축도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흡수되므로 이런점 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대개 콘서트홀은 도심에 있으므로
밖
의 소음이 콘서트홀 건물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 건물 내에 있는 냉난방장치나 환풍기도 잡음을 내지 않도록 배치를 하는 것도 콘서트홀을 설계할 때 미리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콘서트홀 중에서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티오시안산이라는 해가 없는 물질로 바꾼다. 이 물질은 배설이 잘 되기 때문에 독성을 몸
밖
으로 빼내는 역할도 한다. 문제는 해독제를 정맥에 주사해야 한다는 점이다. 시안화수소의 반응 속도는 화학무기 중 가장 빠르다. 중독 작용 역시 빠르기 때문에 해독제도 빨라야 한다. 하지만 전쟁터에서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받지 않고 더 넓은 파장을 관측할 수 있는 우주에 망원경을 설치하자고 제안했다. ‘지구
밖
관측소의 천문학적 이점’이라는 논문도 썼다.그는 이후 우주개발이 한창이던 1960~1970년대를 거치면서 이 꿈을 실현시키려고 오랫동안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정부를 설득했다.꿈이 이뤄진 건 무려 40여 년 ... ...
내 안에 고릴라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밝혀졌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간 유전자는 침팬지와는 약 1.37%, 고릴라와는 1.75%
밖
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오랑우탄과는 3.40% 차이가 났다.연구팀은 또 유전자 비교를 통해 각 종이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시기를 추정했다. 유전자는 갈라져 나온 시간이 길수록 차이도 커지기 때문에 유전자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정말로 전체가 다이아몬드로 변하나요. 우리 우주엔 은하가 몇 개인가요. 우리 우주
밖
은 뭡니까. 우주 탄생 이전에 뭐가 있었나요.처음 질문 한두 개에 성의껏 대답을 해 준다. 과학자들은 대부분 자기 연구 세계에 애착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화가 진행될수록 더 흥분하고 스스로 얘기 속으로 빨려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빛이 뿜어져 나오는 곳에 도착한 폴과 폴리스. 그 곳은
밖
으로 통하는 문이었다. 하지만
밖
으로 나간 둘은 깜짝 놀라고 만다. 바로 앞에 천길 낭떠러지가 있었기 때문이다.“뭐야, 낭떠러지라니! 여기까지 왔는데 앞으로도, 뒤로도, 어느 쪽으로도 갈 수 없는 거야?”이 때 폴리스가 편지 한 장을 주워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소수의 곱이기 때문이다. 소인수분해가 하나
밖
에 되지 않아 2차원 사각형으로 정렬될 수
밖
에 없다. 가로가 긴 23×73으로 정렬하면 의미가 없는 도형이지만, 세로가 긴 73×23으로 정렬하면 왼쪽 그림과 같은 모양이 나온다. 특히 가장 위에는 이진법으로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표시돼 있다.*구상성단 :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보이는 부분의 높이가 9m라는 이야기부터 거의 50m라는 이야기까지 있다. 그러나 물
밖
으로 드러나 보이는 부분은 전체 빙산의 약 8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제대로 부딪쳤다면 치명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그러나 타이타닉은 정면충돌을 피했다. 빙산과 충돌한 곳은 선체 오른쪽 앞부분으로 몇 초 동안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