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공학으로 차린 밥상 정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Non-GMO’. 콩이나 옥수수를 주원료로 만드는 두부나 과자, 채식주의자를 위한 콩고기 등에는 ‘Non-GMO’라는 광고가 어김없이 붙어 있 ... ‘큐리오시티’부터 청소년의 성조숙증, DNA와 과학수사, 원자력발전의 안전과 미래, 과학자 윤리, 애니팡 신드롬까지 과학과 관련된 핫이슈를 다뤘다 ...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는’ 무인항공기가 이제는 지구의 하늘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하늘도 지배하는 미래가 언젠가는 찾아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우주에는 지구처럼 물이 많은 행성이 적지 않을 것이다.비록 항성간 여행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지만, 물이 있는 행성을 발견한다면 이주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외계생명체를 만날 가능성도 높은 곳이다. 그러나 너무 작고 멀리 떨어져 있어서 눈으로 보기조차 어려운 외계 행성에서 물을 발견하기란 ...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여기 외계인과 과거인, 미래인이 다 모였네? 폴과 피타는 외계인, 데카르트는 과거인, 넌 미래인이잖아. 신기하지 않니?”그때 피타가 웬 장치를 꺼내더니 자판을 눌렀다.“캬캬…? 중력 역전? 지금 뭐 하는 거야?”피타가 태블릿PC에 ‘캬캬’와 ‘중력 역전’이라고 검색하자 캬캬족의 사진과 ...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기계 인터페이스(BMI)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 미겔 니코렐리스 듀크대 교수의 새 책 ‘뇌의 미래’는 이 분야의 지식을 가장 깊고 가깝게 전해준다. 현실이 이야기를 오히려 앞질러 실현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뇌-기계 인터페이스가 여는 세상은 과연 현실일까 이야기 속 세계일까 궁금해진다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DNA는 더이상 생체 내에서 원래 주어진 역할에 만족하지 않는다.네오 DNA 시대를 이끄는 과학자들은 DNA를 세포 밖으로 꺼내 전혀 새로운 용도로 활용 ... 보시려면?INTRO. NEO DNAPART 1. 당신이 알던 DNA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시설을 설치하는 게 위험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정 부장은 “하나로를 설계할 때부터 미래에 냉중성자를 이용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예상하고 나중에 확장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다”고 설명했다. 무려 20여 년 전부터 준비를 해 둔 것이다.이어서 2012년 11월에는 냉중성자시험동에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등 과학기술을 총 동원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자료를 바탕으로 수학자들은 미래를 예측하는 수학 알고리즘을 세웠다. 그 결과 앞으로 100년 동안 평균 기온이 지금보다 6℃ 정도 더 오를 것이라는 사실을 알아 냈다.하루 사이라도 기온이 6℃씩 오르내리면 사람들은 불편을 겪는다. 그렇다면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마르코프연쇄는 과거와 미래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을 때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뱀과 사다리에선 크게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주사위를 던지는 횟수와 주사위를 던졌을 때 특정 눈금이 나올 확률, 뱀이 있는 칸에 걸릴 확률이다. 뱀이 있는 칸에 걸리면 왔던 길을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그 답을 이야기해 주지는 않지만, 많은 것을 상상하게 해 주거든요. 또 그 상상 속에서 미래 사회의 해답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서 신문이나 책에 나오는 통계에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요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