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잘 모른다. 1970년대 이후 암흑물질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속속 드러나면서 우주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물질은 우주의 약 5%만 차지할 뿐 나머지는 암흑에너지(약68%)와 암흑물질(약 27%)로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들 정보는 암흑물질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로 확인한 것일 뿐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장애가 없는 경우라도 어떤 아이는 눈으로 봤을 때 특정 개념을 잘 이해하는 반면 어떤 아이는 손으로 만지거나 동작을 했을 때 더 쉽게 개념을 이해한다. 이처럼 아이들에게는 저마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있는데, 보편적학습설계는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않고, 어느 곳에서든 할 수 있어요.탐사할 장소를 정하고, 그 자리에서 5분 동안 머물며 눈에 보이는 조류의 이름과 마릿수를 세서 기록하면 되지요. 대원들이 올린 데이터는 우리나라에 계절별로 어떤 새가 어떤 환경에 사는지와 같은 연구를 하는 데 활용될 거예요.김윤전 연구원은 “처음에는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빛은 1초에 약 30만km나 움직여요. 이런 빠른 속도 때문에 빛이 물체에 반사돼 우리 눈으로 들어오는 과정을 알아챌 수 없지요.빛의 속도로 달리는 기차에서 손거울을 들고 있는 사람을 기차 밖에서 관찰할 땐 어떨까요? 손거울에 얼굴이 비치려면, 얼굴에서 반사된 빛이 앞으로 나아가 손거울에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m 망원경과 225만 화소의 전하결합소자(CCD) 42개를 장착해 총 9500만 화소에 이를 만큼 ‘눈’이 밝다. 우주의 한 지점을 수개월 이상 바라보면서 항성이 내는 빛의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측하는 방식으로 외계행성을 찾았다. 태양과 같은 항성은 핵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낸다. 그래서 이런 항성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자의 ‘유일한 아이돌’이 드라마 OST를 불렀다!). 그런데 극이 진행될수록 다른 게 눈에 들어왔다. 바로 주인공 이수연의 괴력팔과 그 괴력팔의 정체, ‘웨어러블 로봇’이다. ● ‘장애 1급, 보행보조물 착용’ #Scene 1 이수연의 인사 기록에 쓰인 비밀이다. 그는 12년 전 교통사고를 당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않고 과불화화합물의 저감 노력에 힘을 실어줄 중요한 연구 결과를 생산했다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올해 대구 과불화화합물 수돗물 사건도 이런 식의 해결 방법이 모색되길 기대해 봅니다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여행하는 계획을 세우며 수학이 깃든 도시까지 중간에 들르기로 한 거죠. 각자 평소에 눈여겨 뒀던 지역을 토대로 61개 도시를 골랐습니다. 그중에는 유명한 관광지부터 수학적 의미 있는 장소도 포함돼 있습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뢰머광장 | 프랑크푸르트는 요한 볼프강 괴테의 집이 있는 ...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리는 계절과 날씨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다양한 모습의 구름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눈이나 위성으로 관측하는 것만으로는 구름의 입체적인 모습을 정확히 알기 어렵죠.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의 마르쿠스 그로스 교수 연구진은 구름을 3차원으로 그리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연구진은 2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