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요람을 벗어나,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무중력 상태와 똑같은 감각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비행기를 급강하시켜
내부
에 가상의 무중력공간을 만든다. 중성부력훈련(수중훈련)장의 모습. 깊이 12m에 달하는 거대한 풀 안에 실제 우주선이나 우주정거장과 똑같이 생긴 훈련용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몸무게와 부력이 똑같아서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유당영양소의 흡수와 배설소장작은장차의
내부
는 융털이라는 돌기로 빼곡히 덮여 있다.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된 영양소는 융털에서 흡수된다. 작은창자의 길이는 7미터나 되고 주름과 융털을 모두 펼치면 테니스장의 넓이와 맞먹는다. 대장소화가 마무리된 음식물은 이제 큰창자(대장)로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있는 원소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얼마 전 우리나라 과학자가 반도체
내부
의 결점까지 찾을 수 있는 X선현미경을 개발했다. 주인공은 포스텍 신소재 공학과 제정호 교수와 이재목 박사. 이들이 만든 X선현미경은 정밀도가 높아 신소재나 반도체 분야에서 대활약이 기대된다. 세포, ... ...
썰렁 홈즈의 가정부 로봇 '봇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애프터서비스 닥터 봇을 보냈다. 치료의사 역시 로봇이었다. 침대에 누워 봇다리의
내부
를 열어 보니 충전을 너무 오랫동안 해서 회로에 문제가 생겼다. 회로를 잘 살펴보고 끊어진 부분을 이어 보자. 회로가 끊어진 부분은 모두 몇 군데일까? 닥터 봇에게 회로가 끊어진 부분이 모두 몇 군데이고 ... ...
볼록한 몸매가 맛을 좋게 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수 없을 거예요. 허리가 볼록하기 때문에 태양의 각도에 따라 고루 햇볕을 받게 되어
내부
의 온도가 적절히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여러 개를 붙여 놓았을 때 아래 부분에 빈 공간이 생겨 열이 잘 전달되지요.또한 옹기의 겉에는 무수한 숨구멍이 있습니다. 이 숨구멍은 옹기를 가마에 구운 다음 ... ...
아프리카 특급열차 '싸빠리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각 차량은 다양한 각도에서 물을 뿌릴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열차
내부
에 불을 한번 질러 보겠습니다. 물은 호스의 끝부분부터 직선으로 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이젠 차량에 화재까지? 어떤 버튼을 눌러야 불을 끌 수 있을까? 조금 뒤면 다른 여러 곳까지 불이 번질 것이다. mission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물체의
내부
에 전자를 빠른 속도로 통과시켜 형광판에 남는 상으로 물체의
내부
구조를 관찰한다.망원경이 보여 주는 먼 세계우리 눈은 얼마나 멀리 볼 수 있을까요? 축구 경기장에서 선수들의 얼굴이 잘 보이지 않아 망원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우리 눈은 꽤 멀리 있는 물체도 볼 수 있답니다.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않게 조심스럽게 수건으로 머리를 닦아낸다”고 밝혔다. 머리 한번 감는다고 우주정거장
내부
를 물방울로 가득 채울 수는 없기에 머리 감는 것도 주의해야 한다. ISS에서 사용한 물은 대부분 다시 쓴다. 머리 감을 때 튀는 물 한 방울, 심지어 흘리는 땀까지 모두 흡수한 뒤 정수해서 사용한다.2 ... ...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수입한 2기의 전기집진기를 마산화력발전소에 시공하면서다. 이 회장은 이때 전기집진기
내부
를 속속들이 이해하면서 국산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 뒤 전기집진기를 만드는 일에 일로매진(一路邁進)했다. 드디어 1968년, 이 회장 손으로 최초의 국산 전기집진기를 만들어 군산화력발전소에 ... ...
교향악단 조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공기의 밀도가 줄어들어 처음보다 높은 소리가 난다. 온도에 따라 현악기의 줄과 관악기
내부
인 공기에서의 파동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파동은 탄성과 관성의 하모니파동의 속도 $v=\sqrt{\frac{τ}{μ}}$ 를$v=fλ$에 대입해 정리하면 진동수 $f=\frac{v}{λ}=\frac{1}{λ}\sqrt{\frac{τ}{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