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입력하면 의심되는 질병을 알려줍니다. 의사는 이 결과를 진단에 참고하죠. 최 장관님은 “닥터앤서 기술에도 많은 수학이 숨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선 AI가 학습한 데이터를 분석하려면 행렬과 벡터 등을 다루는 '선형대수’ 라는 수학 분야가 중요합니다. 또 ... ...
- [그래프뉴스] 10대, 성희롱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답하게 했습니다. 점수가 6점에 가까울수록 성희롱에 대한 이해가 낮은 걸 뜻해요. 그 결과 점수가 가장 높은 건 60대 이상 남성(3.10점), 그다음은 10대 남성(3.07점)이었습니다. 20대 여성(1.75점)과 30대 여성(1.98점)은 성희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가장 적었어요. 전체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2.3 ... ...
- [특집] STAGE 2 쇼미더투표! 투표 결과는 과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말이 안 돼요!”그럼, 이번엔 멧돼지 후보의 주장대로 점수제, 즉 보르다 셈법으로 투표 결과를 살펴볼까요. 1순위에게는 4점, 2순위에게는 3점 순으로 점수를 매기는 방법이었지요. 점수를 더해보니 다람쥐는 95점, 코뿔소는 103점, 멧돼지는 107점, 개미핥기는 95점이 나왔어요. 따라서 당선자는 멧돼지 ... ...
- [가상인터뷰] 고양이가 캣닙을 사랑하는 이유는 모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난 2014년 벨기에 왕립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이 이집트에서 발굴한 고양이 뼈를 분석한 결과란다. 만일 고양이와 친해지고 싶으면 개박하나 개다래나무를 준비하렴! 개박하나 개다래나무를 준비하라고?응. 개박하나 개다래나무는 고양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식물이야! 잎을 본 고양이는 얼굴과 ... ...
- [기획] 어린이는 왜 백신을 못 맞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부작용 대부분 경미하지만, 접종 후 자가진단 필수!지금까지 임상 3상 중간 결과를 발표한 화이자와 모더나는 모두 통상적인 부작용을 발견했어요. 우리 몸은 백신과 같은 외부 물질이 들어오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데, 그 과정에서 주사 부위 통증과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증상은 ... ...
- [만화뉴스] 식물 세포 길러 가구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증식시켰어요. 이후, 식물 성장 호르몬을 추가하며 세포 속 리그닌 양을 살펴봤어요. 그 결과, 나무처럼 단단한 정도로 리그닌의 양을 늘릴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원하는 모양의 틀 속에 식물 세포를 키워 가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4컷만화] 뇌에 가장 큰 충격을 주는 행동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생물의학과 우창홍 교수는 ‘뇌가 회전하다 급히 멈출 때가 가장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뇌처럼 부드러운 성질을 가진 달걀로 연구를 진행했어요. 신선한 달걀을 단단하고 투명한 원통형 용기에 담고 충격을 주며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어요. 우선, 용기에 갑작스러운 ... ...
- [한페이지 뉴스] 표현하기 힘든 환자의 고통 AI로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노스웨스턴대 응용수학부 연구원은 “환자들이 평가한 통증 수준과 AI로 통증을 예측한 결과를 비교해 환자들이 자신의 통증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도 알 수 있었다”며 “다양한 생리 지표를 수집하고 학습시키면 낫적혈구빈혈 외에 만성 통증을 일으키는 다른 질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 정도의 무게 차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은 아직 없습니다. 이론적으로 계산한 결과일 뿐이죠. 컴퓨터에 쌓인 데이터가 정말로 컴퓨터를 살찌울지 확인할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요. 연구자들은 또 다른 방법을 통해 이를 증명할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리에 그 단서가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명확하지 않은 음성이 있어도 그 단어의 앞뒤 단어를 살펴 가장 확률이 높은 것을 선택해 결과를 내놓습니다. 음성이 문장으로 바뀌는 순간이죠. 이 과정을 ‘해독기’를 뜻하는 단어인 ‘디코더’라고 부릅니다. [4단계] 음성 이해하기 이제 AI는 입력된 음성 신호가 어떤 문장을 말한 것인지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