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이보그는 기계적 요소가 결합된 생명체를 뜻한다. 넓은 의미로는 손상된 뼈나 관절을 인공 뼈나 인공 관절로 대체한 사람,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사람도 사이보그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보통은 능동적으로 작동하는 기계장치를 체내에 이식한 경우를 사이보그라고 부른다.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전에서 학부 4년을 마치고 1999년 필자가 입학한 대학원 실험실에는 한 가지 특별한 규칙이 있었다. 오전 9시 30분 출근, 이후 30분씩 늦을 때마다 1000원씩 벌금을 내 모인 돈으로 10명 남짓한 구성원들이 함께 점심을 사먹는 단순하지만 엄격한(?) 규칙이었다. 사람들이 말하는 전형적인 ‘올빼미형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달 초기의 배아는 둥근 공 모양입니다. 이런 배아가 발달하면서 머리-꼬리(anterior-posterior), 배-등(ventraldorsal), 왼쪽-오른쪽(left-right) 같은 몸의 축이 만들어집니다. 머리-꼬리 축을보면 이 축을 따라 다양한 몸의 기관들이 발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척추만 보더라도 가장 위에 목뼈, 아래로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스페인의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녹아서 흘러내리는 듯한 시계다. 마치 시간이 녹아버린 것 같은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이 작품의 제목은 ‘The Persistence of Memory’, 우리말로 풀이하면 ‘기억의 집요함’이다. 달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심취했었다.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물 위를 걷는 수면보행술 바실리스크 도마뱀은 중앙아메리카에 사는 파충류입니다. 어른이 되면 몸 길이는 최대 80cm까지 커지고, 수컷은 머리에 큰 볏도 생기지요. 눈은 노란색이고, 등에는 적을 위협하는 지느러미가 달려 있습니다. 네 다리로 기어 다니는 바실리스크 도마뱀은 평소에는 많이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9월 16일 아침,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북원로터리의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학생들이 무리지어 무언가에 열중하고 있었다. 진해로 매스투어★를 온 경남 창원 삼계중학교 학생들이 이순신 장군동상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던 것. 사람보다 훨씬 큰 동상의 높이를 어떻게 알아낸다는 걸까? 매스투어★ ... ...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하세요? 저는 아프리카 동쪽에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라고 해요. 쥐와 같은 설치류에 속하지만 이름 그대로 털이 거의 없는 벌거숭이에요. 주름이 많은 몸에 분홍색을 띠고 있지요. 크기는 8~10cm이고, 몸무게는 30~35g으로 매우 작고 가볍답니다.우리는 튀어나온 큰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은 근시가 있을 확률이 높다. 아마 초등학교 입학 전후에 칠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안경을 쓰기 시작했을 것이다. 이렇게 쉽게 짐작하는 이유는 근시가 그만큼 흔하기 때문이다. 서울에 사는 19세 남성의 96.5%가 근시라는 통계도 있다(doi:10.1167/iovs.12-10106). 근시는 대부분 태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름 약 8μm, 전체 길이 약 10만km, 몸속 ‘골목길’로 불리는 이것. 바로 모세혈관이다. 굵은 혈관인 동맥과 정맥이 ‘고속도로’라면 세동맥(가는 동맥)과 세정맥(가는 정맥)은 ‘국도’에 비유할 수 있다. 모세혈관은 이들 ‘국도’에서 뻗어나와 작은 마을까지 다다른 골목길쯤 된다. 심장에서 출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와 ‘나의 부분’이 같다?기독교 문화 속에 살았던 중세 유럽 사람은 시간을 초월해서 무한한 창조력을 가진 신을 믿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무한의 정체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논의했다. 대부분은 무한이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라는 데 동의했다. 이렇게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로만 보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