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04
달고 일반인보다 더 큰 힘을 내고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도록 ‘날개’를 단 것.무릎
아래
부분이 없는 피스토리우스는 탄소나노튜브를 재료로 한 인공다리를 이용해 빠르게 달렸지만 무릎 위가 잘린 장애우는 무릎에 모터를 달고 그 아랫부분에 의족을 신어야 한다.서울대 의대 정선근 교수는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04
국가핵융합연구소 응용기술개발그룹이 개발한 플라스마 활성수 덕분이다.전극을 위
아래
로 놓고 중간에 물이 흐르게 한 뒤 대기압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면 물이 분해되면서 오존과 수소이온이 발생한다. 이런 상태의 물을 활성수라 부르는데 pH가 2.8~3.0으로 산성을 띤다. 활성수를 테스트한 결과 ... ...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과학동아
l
200803
환한 빛을 선물했다. 네티즌1키보드 자판으로 만든 코브라가 입을 쩍 벌리고 있다. 그
아래
놓인 수많은 마우스들도 험악한 분위기다. 익명성과 댓글로 상징되는 네티즌의 공격성을 비판한 작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1세기 그린파워 리사이클링 사이언스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03
노력이 컸다. 낙동강 조사에서는 갯벌에 몸이 빠지는 바람에 신발 두 짝을 진흙
아래
고이 묻은 채 몸만 빠져나왔고 추위, 더위와 싸우는 일은 이제 예삿일이 됐다. 새를 보는 순간 추위도 배고픔도 모두 잊게 된다는 이들은진정 새 박사였다 ... ...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03
친척은 회전판을 돌리는 두 축이 교대로 내려오며 피스톤을 중앙에 위치하도록 만들고,
아래
쪽 공기가 팽창하며 1회, 위쪽 공기가 수축하면서 1회 총 2회 피스톤을 들어올린다고 설명했다.회전판을 돌리기 위해 추운 바깥에 나가 친척의 머리 위에 올려놔 봤지만 웬걸 꼼짝도 않는다. 손으로 ... ...
얼음호수에서 생명체 찾기
과학동아
l
200803
물의 흐름을 컴퓨터로 모델링했다. 그러자 빽빽하게 소용돌이가 일며 물이 위,
아래
로 천천히 움직였다. 소용돌이의 크기를 실제 보스토크 호수의 비율로 환산하자 지름이 10~30m에 이르렀다. 또 박테리아가 호수 바닥에서 꼭대기까지 올라가는 데는 20~30일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왔다. 웰스 교수는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03
붙는 이유는 무엇일까. 적혈구는 납작한 원반 형태이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은 위
아래
부분이 가장 붙기 쉽다. 즉 적혈구 표면의 삼투압이 유발한 불안정한 상태를 극복하려면 아무래도 넓은 면적을 서로 맞대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그 동안 혈액검사는 신체검사의 필수 항목이었지만 의외로 ... ...
달궈진 아스팔트로 난방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열을 모아 에너지로 쓸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네덜란드의 한 건설업체는 아스팔트
아래
에 물이 흐르는 금속관을 묻어 아스팔트의 열기로 덥힌 물을 건물에 공급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원래 이 기술은 도로 유지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고 해요. 여름철 뜨거운 아스팔트에 의해 덥혀진 물을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03
전운동피질
아래
부분이 훨씬 강하게 반응했다. 리촐라티 박사는 “사람의 전운동피질
아래
쪽에는 동작의 이유를 파악하는 거울뉴런이 있어 의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며 “‘치우기 위해서’보다‘마시기 위해서’처럼 좀 더 원초적인 생물학적 의도일 때 강하게 활성화된다”고 덧붙였다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03
균사에 축적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야를 돌다 보면 계곡물이 가까운 나무그늘
아래
에서 곤충의 사체를 자주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란 버섯이 쉽게 발견된다. 동충하초(冬蟲夏草)란 겨울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 풀처럼 나타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예부터 ... ...
이전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