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질소고정'을 해양 조류에서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를 11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질소고정은 대기 중의 질소를 생물체가 생리적, 화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끔 질소화합물로 바꿔주는 것을 말한다. 식물에서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질소를 제공하고 생장에 도움을 준다. ...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5일 "체중 감량을 위한 CGM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적절하지 않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
했다. 대한비만학회는 성명서를 통해 "CGM은 당뇨인들을 위한 제품으로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는 근거는 매우 부족하다"며 "진료지침위원회의 문헌을 통해 살펴본 결과 체중 관리에 대한 CGM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위기에 직면한 곤충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위기에 처한 곤충에게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네이처에 실린 또 다른 논문은 3월
발표
된 것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온난화가 미국 꿀벌의 다양성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내용이었다. 미국 뉴멕시코대, 워싱턴주 농림부 등 연구팀은 기온과 습도가 꿀벌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 ...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동아
l
2024.04.13
처음 쓰였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2월 17일 국제학술지 '히스토리아 매스메티카'에
발표
했다. (doi: 10.1016/j.hm.2024.01.001) 이는 그동안 수학계에 알려졌던 것보다 150년 가량 앞선 시기다. 1보다 작은 수를 나타내기 위한 표기법은 중국, 인도 등 여러 문화권에서 독자적으로 나타났다. 그중 현재 ... ...
"끔찍한 마피아식 살인"…석기시대 유럽서 만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3
흔적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를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
했다. 크뤼베지 교수는 1984년 프랑스 론 계곡 석기 시대 구조물에서 5600년 전 묻힌 세 여성의 해골을 발견했다. 이들 중 두 명의 뼈는 부자연스럽게 배열돼 있어 그동안 해석이 어려웠다. 40년 지난 뒤 크뤼베지 ... ...
뇌 없이 운동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척수의 신경 회로를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뇌가 없어도 척수에서 전달된 운동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미 알려져 있다. 머리가 없는 곤충들이 외부 신호를 피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단 뇌 없이 어떻게 ... ...
과기연전 노조 "총선 결과는 연구현장 파괴에 대한 준엄한 심판"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15개 지부 4000여 명으로 구성된 산업별 노동조합이다. 과기연전 노조는 12일 성명서를
발표
하고 "4월 10일 제22대 총선에서 국민은 현 집권당의 국정운영과 정책에 대한 혹독한 평가를 했다"면서 "조건 없고 즉각적인 R&D 예산의 복원과 과학기술인의 자존심과 연구 생태계 회복을 위해 대화와 소통에 ... ...
잘때 수집한 생체 데이터가 스트레스 '바로미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상관성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디지털 헬스'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수면이 신체 및 정신 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수면시 얻은 생체 데이터를 통해 스트레스 신호를 읽을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대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잠을 자는 동안 웨어러블 ... ...
암호화폐 기반 이론 만든 이스라엘 수학자 '튜링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대한 이해를 넓힌 공헌을 인정해 위그더슨 교수에게 2023 ACM AM 튜링상을 수여한다고
발표
했다. 1966년 제정된 튜링상은 ACM이 컴퓨터과학 분야에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매년 시상하는 상이다. 현대 컴퓨터과학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앨런 튜링을 기리기 위해 튜링상이라 이름 붙였다. 튜링상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TAS2R14'의 상세한 구조를 밝힌 연구결과를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연구 논문의 1저자인 김유중 노스캐롤라이나대 박사후 연구원은 "이전까지는 단맛, 쓴맛, 감칠맛의 수용체 구조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다"며 "이번 연구에선 생화학적 방법과 컴퓨터 분석을 결합해 쓴맛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