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뉴스
"
데
"(으)로 총 17,5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대만 포모사그룹과 첨단바이오·친환경에너지 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밝혔다. 연구팀은 나트륨계 산화물인 '나시콘'을 이용해 탄산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성공했다. 나시콘 고체전해질을 사용해 나트륨 금속이 있는 전극을 공기로부터 보호하고 전지 구동 시 형성되는 탄산염이 분해되도록 촉진해 나트륨-공기 전지의 성능을 높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진화한 단백질 구조 예측 AI…생체분자와 상호작용도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알파폴드가 나왔을 때 신약 개발이 빨라질 거라고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굉장히 미미했는
데
단백질 구조만 고려했기 때문“이라며 "신약을 개발하려면 단백질 구조뿐 아니라 단백질에 어떤 유기분자가 결합할 수 있는지, 항체 신약을 설계한다면 어떤 항체가 어디에 어떻게 결합할 수 있을지 예측을 ... ...
[人투더스페이스]⑦ "우주기업 도전 여건 충분…실패 용인 프로그램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기업의 자율적인 활동에 관심이 부족했다. 우주청은 산업 성과를 자유롭게 창출하는
데
도움을 줬으면 좋겠다. 스타트업은 세계시장에서 경쟁하다보면 도전적 목표를 설정해서 도전적인 시도를 하는 게 특성이다. 도전적인 시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지원과 R&D를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 ...
쌀알 반만 한 뇌 조각으로 만든 고해상도 '3D 뇌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이번에 생성된
데
이터의 약 1000배에 달하는
데
이터가 필요하다. 리히트만 교수의 연구 분야는 개별 세포와 신경 회로의 배선까지 포괄적으로 나타낸 뇌 구조 카탈로그를 만드는 '커넥토믹스'다. 완성된 지도는 과학자들이 아직 잘 알지 못하는 뇌 기능과 ... ...
"두꺼비가 내뿜는 독, 우울감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연구원은 "누군가가 우리 연구 결과를 사용해 인간을 위한 새로운 항우울제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란다"면서도 "치료제로 만들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두꺼비에서 유래한 화합물은 환각 효과라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엎친
데
덮친 격…"폭설·폭우가 지진 유발?"
2024.05.09
수압 모델을 겹쳐서 살펴본 결과 강우량과 다른 기후 조건만 고려했을 때보다 강설량
데
이터, 특히 폭설이 있을 때 모델과 관측치 간 적합도가 더 높았다. 노토반도 주민들이 겪고 있는 군발 지진은 부분적으로 계절적 강수량, 특히 폭설로 설명될 수 있다는 말이다. 프랭크 교수는 "지진 발생 시기가 ... ...
개인 맞춤형 정밀 의료 앞당기는 '
데
이터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유전자 분석
데
이터에서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만 골라내는 새로운
데
이터 분석 도구가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유전자의 특징을 빠르고 정확 ... 수학 이론이 생명과학 연구 혁신을 견인하고 생명의 비밀을 빠르고 정확하게 밝히는
데
쓰인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② "육아휴직 1년이 복귀 후 연구의 동력"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방향이다. 육아휴직을 하거나 육아에 많은 시간을 쓰면 속도는 줄겠지만 방향을 잡는
데
해가 되지 않는다. 절대 인생의 마이너스(-)가 되지 않고 오히려 삶과 일에 많은 의미를 찾을 수 있으니 도전해 보라." Q. 그들에게 하고 싶은 현실적인 조언은. "육아휴직 전 연차를 써서 자녀랑 하루종일 단 ... ...
전기차 화재 위험 낮춘다…내구성 확 높인 알루미늄 합금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데
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는 열적 내구성 향상 기술의
데
이터베이스를 다각화하고 새로운 합금 설계 방향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손현우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상용화되면 해외 선진사 대비 뒤처져 있는 ... ...
[과기원NOW] 포스텍, 기존 음향 메타렌즈 한계 극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교수 연구팀이 기존 음향 메타렌즈의 한계를 극복하고 넓은 청야각 메타렌즈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청야각은 렌즈가 얼마나 넓은 각도의 음상을 보여줄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노 교수는 "청야각의 의미와 필요성을 처음으로 제시해 음향 메타렌즈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