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뉴스
"
과정
"(으)로 총 15,36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박사(現 보스턴 아동병원 및 하버드대 의대 박사후연구원)와 탄 스테파니 박사
과정
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에 16일 온라인 게재됐다 ... ...
그린반도체·청록수소…탄소중립 향한 산업 현장의 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이곳의 온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천연가스가 연료로 많이 쓰인다"며 "공정 가스 처리
과정
등에서 나오는 폐열을 회수하는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종민 생기원 지역산업혁신부문장은 이날 발표에서 그린반도체공정의 이점과 테스트베드 조성 계획을 소개했다. ... ...
초파리 360종 유전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수준의 대규모 계통 분류는 전례 없는 수준의 미세한 분류로 다양한 동물종의 진화
과정
에 대한 이해를 크게 향상시키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집어 까자 촉매 효율이 증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때 안쪽에 있는 니켈이 촉진제로 작용해 프로판에서 수소를 탈착해 프로필렌을 얻는
과정
을 돕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금속을 활성 부위로 활용하는 기존 방식을 뒤집은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프로판에서 프로필렌을 만드는 반응만 일으키는 선택성이 94%에 달했다. 또 니켈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은 다 하나하나가 고유한 존재이지만 알고 보면 아무도 '특별'하지는 않다는 사실, 누가 더 잘났고 못났다는 둥 지금은 모두가 우러러 보는 기준들도 절대적이지 ...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
을 밟고 ... ...
빵 먹으면서 천식 예방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0
이용해 빵을 만들었습니다. 빵을 구울 때는 '효모'라는 미생물을 넣어 부풀게 하는
과정
이 필요한데 이때 쓰는 효모를 다른 미생물로 바꿔본 것 입니다. 연구팀은 'UFMG A-905'라는 이름의 미생물을 작은 캡슐로 싸서 높은 온도에서도 죽지 않게 보호했습니다. 그 다음 일반적인 효모 대신 작은 캡슐로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밝혔다. 마리화나가 아닌 헴프는 원래부터 합법이었다. 한국의 사정은 어떨까. 취재
과정
에서 만난 여러 전문가들은 한국도 환자에게 도움이 될 의료용 헴프에 대한 규제 완화 논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한국에서 마리화나 합법화를 논하자는 게 아니라고 일본의 사례를 들었다. 과거 ... ...
[동물do감] 갑오징어도 사람처럼 '잘못된 기억' 불러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때 기억 요소들이 모여 재구성되는
과정
을 거친다. 사람도 에피소드형 기억을 한다. 이
과정
에서 정보가 왜곡되면 '잘못된 기억'이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같은 특징을 공유하는 사건이 연속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연구팀은 갑오징어가 에피소드형 기억을 한다면 과거 사건을 재구성할 때 ... ...
[과기원NOW] GIST, 시각장애인 연주단 ‘한빛예술단’ 공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장애·비장애 구분 없이 예술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마련됐다. ■ GIST는 학사
과정
학생들이 주최한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연대회 '제1회 알고리즘 마스터즈'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알고리즘 마스터즈는 광주 지역 소재 대학생 네트워크 강화와 비수도권 대학생의 교육 기회 보장을 위한 ... ...
바이러스·세균 진화 규명…RNA 백신 개발 시 응용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균과 바이러스의 리보핵산(RNA) 합성 방식이 확인됐다. RNA 백신을 비롯한 차세대 의약품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KAIST는 강창원 생 ... 명예교수,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송은호 박사
과정
생(제1저자), 한선 박사
과정
생(제1저자). KAIST 제공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