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담당하던 정윤 과학기술부 국장(후일 과학기술부 차관을 역임했고, 현재는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KSA) 교장이다)이 소신을 갖고 반대하는 사람들을 끝끝내 설득시키지 않았더라면 KSR-Ⅲ를 시작할 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는 훗날 나로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KSR ... ...
- 빅데이터, 시험, 감옥… 세상에서 하나 뿐인 주기율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공고를 보고 지원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Q 아이디어는 어떻게 구상했나?작년에 ‘한국중학생화학대회(KMChC)’에 참가하면서 화학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됐습니다. 또래 친구들이 더 쉽게 화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친근한 주기율표를 만들고 싶어서 그림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Q 주기율표를 ...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것을 뜻해요. 이 때문에 건물이 무너지고 유리창이 깨지는 등 피해가 막대했지요. 한국은행이 추산한 피해액만 3323억 원 정도나 된답니다. 2017년 11월 15일~11월 16일사람 때문 VS 자연 지진그날 저녁, 한 뉴스 프로그램에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이진한 교수가 출연해 지열발전소 때문에 포항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전자기기에서 전파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금속 장치를 말해요. 영어인 안테나는 한국말로 ‘더듬이’를 뜻해요. 곤충들이 머리에 있는 더듬이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전파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생긴 것도 더듬이와 비슷하지요.개인 주택이나 공공주택 건물 옥상에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우리나라 역대 왕조는 하늘의 현상에 민감했습니다. 이것이 천문학 발전의 밑바탕이 됐지만, 그만큼 뛰어난 관측 실력을 겸비한 천문학자가 필요했습니다. 이런 천문학자들에게 수학 실력은 필수였지요. 천문학자가 왜 수학을 잘해야 하냐고요? 고차원 문제도 해결한 수학 실력고려 충선왕은 동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다. 최 교수는 “모든 언어 인식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음절로 만들어 모아쓰기를 하는 특성이 있고, 덕분에 표음문자인 영어에 비해 띄어쓰기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높을수록 성충이 되는 기간이 짧아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성충의 수명이 길어진다. 한국의 여름처럼 고온다습한 환경이야 말로 우리 모기들이 빨리 자라고 오래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란 얘기다. 동물 피 필요한 모기는 200종 우리는 인간의 피를 빠는 해충으로 유명하지만, 사실 우리의 주식은 ... ...
- [중국유학일기] 8시 등교, 6시 하교, 6일 수업 실습 프로그램 ‘866’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열 때 얻을 수 있다. 조교가 인턴 채용 여부를 알아봐 주는 등 도움을 주기도 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기업에서 인턴으로 있는 기간에 월급이 높지는 않다. 우한대 소프트웨어학과의 경우 조금 특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부터 소프트웨어학과 학생들은 여름방학 기간에 2주 동안 ... ...
- [헷갈린 과학]접었다 펴는 휴대 전화 폴더폰VS폴더블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었지요. 세상에 처음 나온 휴대 전화는 한 손에 잡기도 어려울 정도로 크기가 컸어요. 한국에서 처음 팔린 휴대 전화인 모토로라의 ‘다이나택 8000SL’은 길이 33cm, 무게 771g으로 ‘벽돌폰’이라고도 불렸지요. 이후 휴대 전화는 손바닥만 한 크기까지 작아지고, 키패드가 의도치 않게 눌리지 ...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흑점의 주기는 약 11년입니다. 조금 긴 주기로는 60년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팀이 흑점이 ‘240년’ 주기로도 활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새로운 발견에 연구팀이 이용한 도구는 거대한 천체망원경이 아닌 우리 선조가 남긴 오래된 기록이었습니다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