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것도 중요하다. 헤켈 박사는 “생산 과정에서 혁신을 이룰 수 있었기 때문에 소재를 최초로 개발하지 못해도 결과적으로는 코닝이 앞서 나갔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금 코닝에서 쓰고 있는 세라믹 전해질 연구 시설도 그대로 규모만 키우면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로켓의 관성항법장치와 자세제어시스템을 시험했다. 2002년 발사된 KSR-III는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로켓으로 소형위성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나로호 발사에도 이때 얻은 경험이 도움이 됐다. 그러나 사운딩 로켓을 수백 대나 발사하면서 경험을 쌓아온 우주기술 ...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꾸준히 협력 연구와 교류를 하고 있어요. 지난 1월에는 탄자니아 최초의 연구소재은행이 탄생했다니까요. 사이먼 음두마 타위리 센터장도 “한국과의 협력 연구에 큰 기대를 한다”고 말했답니다.이들이 연구하는 방식은 앞서 다른 연구자들이 하는 방식이나 절차와 비슷해요. 먼저 시료 채취에 ... ...
- 과도한 소금섭취 막는 짠맛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종 전체에서 오직 하나만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TMC가 이온채널임을 규명한 최초 사례다. 특히 예쁜꼬마선충에서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예쁜꼬마선충은 사람과 유전정보적, 생화학적 특성도 상당히 닮아있어 생물학 연구에서 모델동물로 많이 활용된다.연구팀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 ...
- [수학뉴스] 물방울, 방정식으로 표현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물방울은 왜 나뭇잎을 적시지 않고 그 위를 구르는 걸까? 독일의 막스 플랭크 연구소는 최초로 이런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물방울 구조 방정식을 발표했다.액체는 담는 그릇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진다. 하지만 액체를 구성하고 있는 미세한 엷은 막은 이야기가 다르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와 ... ...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아이디어 물건 3가지를 소개한다.텐트 tent1975년 아웃도어브랜드인 노스페이스에서 세계 최초로 돔 모양의 텐트 ‘오벌 인텐션(Oval Intension)’을 출시했다. 오벌 인텐션이란, ‘장력에 의해서 강도를 지탱하는 알’이란 뜻이다. 텐세그리티의 원리로 만들어진 이 텐트는 가볍지만 견고해 히말라야와 ... ...
- [W5 코드 브레이커] 치환 암호의 꽃, 비즈네르 암호수학동아 l2013년 03호
- NANJE라는 원래 단어를 찾아 낼 수 있다. 비즈네르 암호를 풀어낸 수학자 배비지세계 최초로 기계식 계산기를 개발한 영국 수학자 찰스 배비지는 암호에도 관심이 많았다. 그는 1854년 존 홀 브록 스웨이츠라는 학자가 발표한 새로운 암호가 비즈네르 암호와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 말을 들은 ...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대상을 수상했답니다. 남극점을 향해!탐험가들이 어디로 가고 있을까요? 1911년 세계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한 노르웨이의 탐험가 ‘아문센’의 연습 코스를 그대로 재현해 경주를 하고 있는 중이랍니다. 흔들리는 물 위에서 잡는 균형만큼 어려운 눈 속의 발걸음은, 그러나 한없이 정확하고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식이다.반대의 이야기도 있다. 영국의 작가 H.G. 웰즈가 1901년 발표한 소설 ‘달세계 최초의 인간’에는 ‘카보라이트’라는 반중력 물질이 나온다. 이물질은 중력을 차단한다. 이 소설 속 주인공은 카보라이트를 이용해 달로 여행을 떠난다.우주선과 지구 사이를 가로막으면 달의 중력을 받아 이끌려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러시아 운석우와 무관했다).이 소행성은 지난 2012년 2월 22일 스페인 마요르카 천문대에서 최초로 발견했다. 지구와 260만km 거리를 두고 지나간 지 7일째 되던 날이었다. 하지만 마요르카 천문대는 어두워져버린 소행성의 위치를 곧 잃어버렸다.약 1년 뒤인 2013년 1월 9일, 행방불명됐던 소행성이 다시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