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발명한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대량생산이 시작됐어요. 이후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플라스틱은 얼마나 생산되었을까요? 그리고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을까요? 매년 12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서는 ‘올해의 통계’라는 ... ...
- [쇼킹 사이언스] 외계인의 흔적일까?! 깊은 숲 속 미스터리 서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용해 나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성장 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하는 실험이에요. 이후 44년 간, 규슈산림관리국 연구팀은 주기적으로 숲을 관찰하며, 나무의 키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측정했어요. 그 결과 처음엔 모두 키가 비슷했지만, 현재 가장 안쪽 나무와 바깥쪽 나무의 키는 5.3m 만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친구도 있었답니다. 또, 시계의 원을 24 등분 해 방학 중 하루 일과표를 만들기도 했지요. 이후, 형형색색의 싸인펜과 예쁜 스티커로 열심히 시계를 꾸몄답니다. 수업에 참여한 최유영 친구는 “오늘 수업에서 숫자를 표기하는 다양한 진법에 대해 배워 좋았고, 제곱과 제곱근을 알게 돼 좋았다”며,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조선 발간 이후 발명학회는 세를 확장해 과학지식보급회로 이름을 바꿨으며, 이후 1934년에는 전국적인 과학 행사인 ‘과학데이’를 처음으로 진행하는 등 조선의 과학 보급과 계몽에 크게 이바지했다. 김 교수는 “많은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최초의 종합과학잡지라고 할 수 있다”며 “1 ... ...
- [과학뉴스]비행기가 지나간 곳엔 비가 내린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분석했다. 그 결과, 반복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하는 특징적인 현상을 17차례 확인했다. 이후 연구팀은 공항 인근의 비행경로를 조사해 이런 사례가 비행기가 지나갈 때 발생하며, 2~10km 구간의 국지적인 지역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위성 데이터와 라이다 관측 등을 통해 이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공장’에 비유해 설명했다. 20대 이후 성호르몬을 생산하는 공장이 몸 안에 생성된 이후에 약물을 투약하면 공장이 일시적으로 문을 닫게 되지만, 10대에 약물을 투약하면 이런 공장이 아예 세워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임 교수는 “약물을 일찍 시작할수록 근육량은 더 빨리 늘지만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변사자의 최종 목격을 확인한 뒤, 통화 기록을 통해 사망 시점을 추정하라고 지휘했다. 이후 구더기의 발육 상태를 확인해 객관적인 사후경과 시간(PMI·Postmortem Interval)을 추정해 비교해달라고 요청했다. 형사소송법상 변사 사건에서 검시는 검사의 책임이며, 모든 판단의 주체는 검사에게 있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구 대상을 막론하고 학자들은 판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이후 ‘플룸 이론’ 등 판구조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일부 현상을 보강하는 이론들이 제시됐지만, 판구조론은 여전히 오늘날 지질학의 바탕을 이루는 중심 이론입니다. 해령에서 자원을 찾는다?군사적 필요가 ... ...
- [나의 영국 유학일기] 재시험 낙제하면 강제 휴학, 깐깐한 임페리얼칼리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임페리얼칼리지 학생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실제로 자퇴하거나 1학년 이후로 종적을 감춘 동기들이 꽤 많았다. 기숙사 옆방이 갑자기 비는 일도 몇 차례 겪었고, 강제 휴학 후 복학한 사람들도 여럿 만났다.졸업하는 건 어려운 일이고, 좋은 성적으로 졸업하는 건 더욱 어려운 ...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하인드만은 색이 2개가 아니라 여러 개여도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후 에르되시는 1980년 출판된 논문에서 아래와 같은 추측을 제기했습니다. 사실 에르되시의 이 추측은 하인드만의 정리의 결과를 조금 약하게 만들어 일반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인드만의 정리로 자연수 ...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