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사람들에게 보여주지 않았습니다.뉴턴이 가장 좋아했던 초상화는 로마 시대의 기둥
옆
에서 당시 지식인들이 집에서 쉴 때 입는 호사스러운 가운을 입고 시인처럼 몽환적인 표정으로 앉아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고 합니다. 낭만주의가 판치던 당시엔 천재란 시인과 같이 상상력을 펼치는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즉 메시에가 위치를 표기할 때 부호를 잘못 기입하는 실수를 범했던 것이다.이 M47은 바로
옆
의 M46과 함께 한겨울철 가장 멋있는 산개성단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제 이 두 성단을 찾아가면서 2백50년 전 메시에가 느꼈을 그 감동을 재현해보자. 하늘에는 별들이 모인 성단 2개가 나란히 떠있어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사이의 ‘측면억제’라는 상호작용 때문이다. 측면억제는 시각통로에 있는 뉴런들이
옆
에 있는 뉴런들의 활성화를 서로 억제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망막에 있는 감광세포는 빛의 강도를 감지하는 뉴런인데, 감지한 빛에 비례해 활성화된다. 그런데 이렇게 활성화된 뉴런은 측면에 있는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화성의 모습을 처음으로 지구에 보내온 우주선이다. 궤도에 진입하지는 못하고 살짝 그
옆
을 지나가면서 21장의 사진을 보내왔다. 그때 화성은 매우 실망스러운 모습을 드러냈다. 메마른 땅에 군데군데 둥근 웅덩이인 크레이터만 보여 생명의 불모지인 달과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1971년 NASA의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진행을 방해받지 않도록 유체역학적 측면을 고려해 모양을 만든 것이다. 배의
옆
부분에는 마치 아파트처럼 승객들을 위한 발코니가 죽 늘어서 있다. 앞부분에 발코니가 없는 것은 한겨울 북대서양의 차가운 바람을 피하기 위해서다.이 배의 진정한 자랑거리는 내부에 있다. 내부 공간은 크게 3개의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가르쳐준 자연과 인간에 대한 깨우침을 담은 책이다. 해안을 따라 바다와 바다동물, 바다
옆
에 자리하고 있는 숲과 숲속동물, 그리고 자연과 인간을 만났던 그의 연구와 탐험이 여행기 못지않은 깊은 감동과 여운을 준다.그가 발견한 숲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강가에 늘어진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 녀석들은 몸길이와 생김새가 매우 비슷하나 원통형인 미꾸리에 비하면 미꾸라지는
옆
으로 약간 납작하다. 미각을 담당하는 5쌍의 입수염 중에 입구석에 달린 한 쌍의 길이도 차이가 있다. 미꾸리의 수염은 눈 지름의 2.5배 이하인데 비해 미꾸라지는 4배로 매우 길다. 35˚C 물도 견디는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ahnlab.com속삭임도 알아듣는 마이크마이크로폰이 통화 목소리를 3백배 증폭시킬 수 있어
옆
사람이 알아듣지 못할 작은 소리로도 전화할 수 있다. 한 방향의 소리만을 미세관으로 통과시켜 증폭시키기 때문에 반대로 아주 시끄러운 곳에서도 통화자의 목소리만 골라내 전달할 수 있다. 벤처기업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방식의 망원경이다 이 때 경통 입구에 평면경을 설치, 빛을 90˚ 꺾이게 하여 경통
옆
에 붙어 있는 접안경으로 보내는 방식을 쓰면 뉴튼식 반사망원경이 된다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 이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고자 하는 파력발전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발전기·진자·전구 등을 내장한 부표를 ... ...
2 소음 제로, 바퀴 없이 떠간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문제를 안정적으로 해결한 상황이다.즉 흡인식 자기부상열차가 부상할 때는 전자석
옆
에 있는 갭 센서(gap sensor)가 초당 수천번 전자석과 부상레일간의 간격을 읽어들인다. 이 신호를 부상제어기에 보내고, 전자석 전력공급장치는 부상제어기의 신호를 받아 그때그때 변화된 전력을 전자석에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