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삶
생계
라이프
인생
세상살이
생활공동체
공동체
d라이브러리
"
생활
"(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안성천 다리 밑이라….’ 다리 밑에서 만나자니. 무슨 밀수 현장도 아니고…. 이런 장소에서 취재원을 만나기로 한 건 처음이었다. 주소도 없었다. 내비게이션으로 검색해 보 ... 않다. 저 녀석은 어디서 왔을까. 혹시 위치추적기를 달고 있지는 않을까. 동물들의 사
생활
이 궁금해진다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판단하기 어렵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새 달력이 기대되는 이유는 과학이 만든 편리한
생활
을 경험한 적이 많기 때문이다. 헨리 교수는 2017년 1월 1일까지 전 세계에 HHPC를 보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 후손은 지금과 다른 달력을 쓰게 될지 기대해 본다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이석형 연구원이 등장했다. 3명의 연구원은 ‘앗! 여기에도 수학이?’란 제목으로
생활
속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지 소개했다.이날 강연에 참여한 사람들은 수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됐을까? 박종원 인천 인제고 1학년 학생은 “교통체증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한다는 것과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여기를 통과하지 못하고 돌고래에게 잡아 먹히게 된답니다.돌고래는 대부분 연안에서
생활
하기 때문에 인간과 자주 접촉해요. 그러나 아쉽게도 돌고래와 인간의 접촉이 서로 우호적으로 마무리되는 경우는 드물어요. 돌고래와 인간은 비슷한 종류의 어류를 좋아하기 때문에 서로 먹이를 두고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어요. 강의를 하면서 박사 과정까지 수료했죠.유학
생활
당시 조국의 상황이 좋지 않아 걱정이 많이 됐어요. 특히 3·1운동 당시에는 잠자코 볼 수가 없더라고요. 저도 ‘재미 한국 독립운동 동지회’를 통해 독립운동에 참여했어요. 이후에도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기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더구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첨가물인 MSG의 양을 규제하지 않습니다. 일상
생활
에서 먹는 양으로는 몸에 해가 없다는 뜻입니다. 글루탐산은 다 똑같아예전에 단맛은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을 찾기 위해서 생겨난 맛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짠맛은 소금을 찾는 거지요. 그럼 MSG가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만들어 소주 한 병의 무게를 견디게 만들었던 과제를 보여주면서 학생들에게 생생한 학과
생활
의 모습을 전달하기도 했다. 정신여고 2학년 최연수 학생은 “건축공학과에 가고 싶은데 무엇을 하는 곳인지 잘 몰라 막막했다”며 “전공 설명회를 통해 건축학과뿐만 아니라 다른 학과도 자세히 알게 돼 ... ...
[
생활
]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 , , 의 공통점은? 바로 드림웍스가 제작한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드림웍스에서는 시나리오를 쓸 때 ‘드라마티카 프로’라는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한다.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드라마티카 프로는 영화, ... ...
생태관광…야생동물, 감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준 먹이를 먹는
생활
에 익숙한 비둘기들은 다가가도 피하지 않는다. 과연 이것이 야생동물에게 잘 된 일일까.미국 캘리포니아대 다니엘 블룸스타인 교수는 “자연을 보존하기 위해 인간이 개입하는 것이 오히려 생태를 교란시킬 수 있다”고 ‘생태와 진화 경향’ 10월 9일자에 발표했다.해마다 ... ...
진짜 우주 vs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우주비행사의 피부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이다.NASA는 2015년 연중 과제 중 하나로 우주에서
생활
하는 우주비행사의 미생물이 1년 동안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했다. 장기 비행 시 몸 안팎의 미생물 구성이 바뀌면서 임무 수행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체의 미생물 구성은 ... ...
이전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다음
공지사항